이제 아픈 바다거북이 치료를 받고 건강을 되찾아 넓은 바다로 돌아갈 수 있게 된다. 해양수산부는 9월 11일 목요일, 제주 중문색달해수욕장에서 구조 치료 및 인공 부화에 성공한 바다거북 13마리를 자연으로 돌려보낸다고 밝혔다. 이는 바다거북 개체 수 감소에 대한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해양생물 보호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일깨우는 계기가 될 것이다.
전 세계적으로 바다거북의 개체 수가 급감하고 있으며, 현재 존재하는 7종 모두 세계자연보전연맹 IUCN 멸종위기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우리나라도 푸른바다거북, 매부리바다거북, 붉은바다거북, 올리브바다거북, 장수거북 등 국내 서식이 확인된 5종을 ‘해양보호생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해양수산부는 2017년부터 야생 개체군 회복을 목표로 바다거북 방류를 꾸준히 이어오고 있으며, 올해 방류 대상은 해양동물보호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방류 적합 판정을 받은 총 3종 13마리이다.
이번 방류 대상 중에는 특별한 사연을 가진 바다거북들이 있다. 성체 5마리, 즉 푸른바다거북 4마리와 붉은바다거북 1마리는 야생에서 부상을 당하거나 해변에 좌초된 상태로 해경과 어민에게 구조된 후, 해양수산부가 지정한 ‘해양동물 전문 구조 치료 기관’에서 회복을 마친 개체들이다. 또한, 나머지 8마리는 모두 새끼 매부리바다거북으로, 해양수산부의 ‘해양보호생물 인공증식 사업’의 일환으로 수족관에서 키우던 바다거북의 산란을 유도하여 인공 부화에 성공한 개체들이다.
이처럼 바다거북의 구조와 인공 부화, 그리고 방류까지 이어지는 여정에는 다양한 민관 협력이 함께하고 있다. 한화 아쿠아플라넷 여수는 매부리바다거북 8마리를 인공 증식하고, 여수 인근 해역에서 구조된 푸른바다거북 2마리를 치료하는 역할을 담당했다. SEALIFE 부산 아쿠아리움 역시 부산과 거제 지역에서 구조된 푸른바다거북 2마리와 붉은바다거북 1마리의 치료를 도왔다. 한화 아쿠아플라넷 제주는 방류 전 바다거북의 건강 상태를 최상으로 만들기 위한 임시 관리와 건강 검진을 책임졌다. 이러한 노력은 단순히 개체를 살리는 것을 넘어, 건강한 바다거북을 자연으로 돌려보내기 위한 체계적인 과정을 보여준다.
바다거북들이 자연으로 돌아간 후에도 해양수산부의 노력은 계속된다. 국립해양생물자원관은 방류되는 개체들에 위성 추적 장치와 개체 인식표를 부착하여, 이들의 이동 경로와 새로운 환경에 잘 적응하고 있는지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바다거북의 생태 연구는 물론, 향후 보호 활동에 필요한 귀중한 데이터를 확보하게 된다.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은 “사람의 손길을 통해 태어나고 건강을 되찾은 바다거북들이 이제 넓은 바다로 돌아가 스스로의 힘으로 자유롭게 헤엄치길 바란다”라고 말하며, “바다거북 자연 방류 행사가 국민들에게 해양생물 보호와 해양 생태계 보전의 중요성을 알리는 좋은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처럼 바다거북 보호는 우리 모두의 관심과 참여가 필요한 중요한 일이며, 이번 방류 행사는 그 중요성을 되새기는 소중한 기회가 될 것이다.
더 많은 이야기
중국산 훈제오리 AI 유전자 검출! 유통 차단 및 수입 중단으로 안심하세요
동포 지원 혜택, 더 촘촘하고 편리하게 받는다!
강한 소상공인 60곳, 최대 4천만원 사업화 자금 받는다! 나도 유망 소상공인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