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년, 국가유산이 K-컬처의 핵심 성장 동력으로 더욱 확고히 자리매김할 전망이다. 국가유산청은 ‘빅5 문화강국’ 기반 조성을 목표로 2026년 예산안을 1조 4,624억 원으로 편성했다. 이는 전년 대비 750억 원, 5.4% 증가한 규모로, 국가유산의 회복과 성장에 더욱 박차를 가하겠다는 의지를 담고 있다. 그렇다면 이러한 예산 증액은 구체적으로 어떤 혜택으로 시민들에게 돌아오게 될까?
가장 눈에 띄는 부분은 국가유산 보수정비 및 보존 기반 구축에 투입되는 5,560억 원이다. 이는 지난해보다 260억 원 증액된 금액으로, 낡고 훼손된 국가유산을 복원하고 미래를 위한 보존 체계를 강화하는 데 집중 투자될 예정이다. 또한, 역사문화권의 체계적인 정비와 진흥을 위한 예산도 193억 원으로, 63억 원이 늘어나 지역 문화유산의 가치를 높이는 사업들이 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갑작스러운 재난이나 사고로 국가유산이 훼손되었을 때 신속하게 대처하기 위한 ‘국가유산 긴급 보수’ 예산 역시 108억 원으로 63억 원이 증액되어, 소중한 문화유산을 더욱 안전하게 지킬 수 있게 되었다.
특히 올해 주목할 만한 변화는 K-컬처의 세계화를 위한 신규 사업들이 본격화된다는 점이다. 2026년에는 제48차 세계유산위원회 개최를 위해 178억 원이 투입된다. 이는 우리나라가 세계유산 분야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국제적인 위상을 높이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다. 또한, 백악산 한양도성 탐방로 운영에 21억 원, 경복궁 내 대표 상품관 조성에 8억 원(총 사업비 168억 원)이 배정되어, 국민들이 국가유산을 더욱 가까이에서 즐기고 체험할 수 있는 기회가 확대될 예정이다. 궁중문화축전과 조선왕릉축전 예산 역시 133억 원으로 39억 원 증액되어, 더욱 다채로운 문화 행사를 통해 국가유산의 매력을 만끽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2026년 국가유산청 예산은 단순히 유산을 보존하는 것을 넘어, 우리 문화의 뿌리인 국가유산을 K-컬처의 미래 성장 동력으로 삼고 국민들이 직접적인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궁궐·왕릉·원 관리에 1,285억 원, 교육·연구·전시 분야에 1,038억 원, 문화유산 분야에 987억 원, 자연유산 및 무형유산 분야에 886억 원, 세계유산 분야에 782억 원이 각각 배정되어 국가유산 전반의 가치를 높이는 다양한 사업들이 추진될 예정이다. 국가유산 정책 추진을 위한 2,537억 원의 예산도 이러한 노력들을 뒷받침할 것이다. 2026년, 국가유산을 통해 더욱 풍요로워질 문화 향유의 기회를 기대해 본다.
더 많은 이야기
K-바이오 혜택, 이제 내가 누릴 차례
한-독일, 새로운 정부 출범 후 첫 외교장관 통화… 미래 협력 강화 논의
민생회복 소비쿠폰, 용현시장에서 빛을 발하다… 이재명 대통령 깜짝 방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