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K-바이오 의약품이 글로벌 시장에서 더 큰 경쟁력을 갖추게 된다. 정부가 혁신에 속도를 더해 2030년까지 바이오 의약품 수출을 두 배로 늘리고, 블록버스터급 신약 3개를 창출하는 것을 목표로 관련 전략을 발표했다. 이는 국내 바이오 의약산업이 글로벌 5대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담고 있다.
이러한 목표 달성을 위해 정부는 ▲혁신을 촉진하는 수요자 체감형 규제 전환 ▲기술, 인력, 자본 연계를 통한 혁신 성장 가속 ▲앵커-바이오텍 기업 동반 성장을 통한 글로벌 경쟁력 강화라는 세 가지 큰 방향을 제시했다.
먼저, 규제 측면에서는 신기술을 활용한 의약품이 빠르게 시장에 나올 수 있도록 필요한 규제를 선제적으로 지원한다. 특히 바이오시밀러의 경우, 허가 심사 기간을 약 4개월 단축하고 건강보험 등재 기간을 대폭 줄여 시장 출시를 가속화한다. AI를 허가 심사에 활용하고 심사 인력을 확충하며, 2027년까지 허가-급여 평가-약가 협상을 동시에 진행하는 제도를 마련할 계획이다.
기술, 인력, 자본을 연계하는 부분에서는 AI 기반 신약 개발, AI 및 로봇 기반 자동화 실험실, 유전자 및 세포치료 등 첨단 기술 개발을 지원한다. 또한, 한국인 100만 명 규모의 바이오 빅데이터를 구축하고 공유하는 플랫폼을 고도화하며, 현장에서 필요한 핵심 인력 11만 명을 양성할 계획이다. 신약 개발 전 과정에 걸친 투자 활성화를 위해 정부 펀드도 확대한다.
마지막으로, 앵커 기업과 바이오텍 기업의 동반 성장을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한다. 위탁개발생산(CDMO) 분야에서 경쟁 우위를 확보하기 위해 인프라, 금융, 세제, 인력 지원을 강화하고 핵심 소재·부품·장비의 국산화율을 높인다. 오픈이노베이션을 통해 바이오벤처의 원천 기술이 완성된 제품으로 이어지도록 성장 지원도 추진한다.
정부는 이러한 전략을 추진하기 위해 지난 9월 5일 인천 송도컨벤시아에서 관계 부처와 바이오 의약 기업, 협회, 연구자, 전문가 등 약 13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바이오 혁신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 현장의 목소리를 직접 청취하고, ‘K-바이오 의약산업 대도약 전략’에 대한 열띤 논의가 이루어졌다. 정부는 이번 토론회에서 수렴된 의견을 바탕으로 관련 정책과 규제를 신속히 개선하고, 민관의 역량을 결집하여 K-바이오 의약산업이 지속 가능한 미래 성장 동력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더 많은 이야기
K-바이오 의약품, 2030년까지 수출 2배 늘린다! 나도 혜택 받을 수 있다
APEC 스타트업 얼라이언스 출범! 이제 우리 스타트업도 세계로 뻗어나간다
APEC 중소기업 장관회의, 국내 중소기업·스타트업 글로벌 협력 기회 넓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