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위사업청이 국내 방위산업 발전을 위한 중요한 발걸음을 내디뎠습니다. 8월 21일 정례브리핑에서 발표된 바에 따르면, 방위사업청은 서울과기대와 광운대에서 국방 무인로봇 및 AI 분야 석사 학위자 14명을 최초로 배출했습니다. 이는 방위사업청과 두 대학이 체결한 방위산업 계약학과 지원 사업의 결과물로, 국방 분야의 미래 기술 혁신을 주도할 인재 양성의 신호탄으로 평가됩니다.
이 사업은 국방 무인로봇과 인공지능(AI) 기술의 중요성이 날로 커지는 가운데, 전문 인력을 체계적으로 양성하기 위해 추진되었습니다. 방위사업청은 총 3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여, 학생들이 이론과 실무를 겸비한 고급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했습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국방 분야에서의 실질적인 문제 해결 능력을 배양하고, 향후 국방 기술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게 되었습니다.
한편, 같은 날 유해발굴감식단은 평택 캠프 험프리스에서 6·25 전쟁 당시 전사한 튀르키예 군 유해 4위를 인수하는 의미 있는 행사를 진행했습니다. 이 행사는 유엔사와의 협력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한국의 전쟁 영웅들을 기리고 국제 우호 관계를 강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특히, 튀르키예 군의 유해는 한국전쟁에 참전한 국가들의 역사적 의미를 되새기는 계기가 되며, 한국과의 지속적인 협력의 상징이 되고 있습니다.
향후 방위사업청은 이러한 인재 양성 프로그램을 더욱 확대하여 국방 분야의 첨단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할 계획입니다. 또한 유해발굴감식단은 이번 인수를 계기로 전몰군인의 넋을 기리고자 다양한 기념 사업을 추진할 예정입니다. 이를 통해 국방 분야의 인력 양성과 국제 협력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긍정적인 결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입니다.
더 많은 이야기
보건복지부 제1차관, 부천시 ‘돌봄통합지원’ 시범사업 현장 방문… 2026년 시행 앞두고 의견 청취
영양군, AI 기반의 ‘맛있는 동행’ 프로젝트 추진… 지역 경제 활성화 및 주민 만족도 증대 기대
고용노동부, 사회적경제기업과 협력하는 ‘컬렉티브 임팩트’ 창출 위한 포럼 개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