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국민들이 참여한 건강 연구 결과가 질병 진단과 치료 기술 개발에 직접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은 국민건강영양조사 사업과 희귀질환 연구를 통해 확보한 총 6,590명분의 인체자원을 추가로 공개 분양한다. 이 자원들은 보건의료 연구 활성화와 희귀질환 극복을 위한 중요한 기반이 될 것이다.
이번에 공개되는 인체자원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첫째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9기 2차년도(2023년) 참여자 6,248명의 혈액, 소변 등 검체와 관련 건강정보이다. 이 자료들은 고혈압, 당뇨와 같은 만성질환 연구, 흡연 및 음주와 같은 생활습관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분석, 감염병 항체 보유율 조사 등에 폭넓게 활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국민들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를 체계적으로 파악하고, 더욱 효과적인 예방 및 관리 대책을 수립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둘째는 희귀질환 연구를 통해 확보된 342명분의 인체자원이다. 여기에는 아밀로이드증, 희귀 사구체신염, 조직구증식증과 같은 희귀질환 환자들의 검체와 임상정보가 포함된다. 환자 수가 적어 연구가 어려운 희귀질환의 경우, 국가 차원에서 이러한 자원을 제공함으로써 질병의 원인을 밝히고, 진단에 유용한 바이오마커를 발굴하며, 임상연구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은 공개되는 모든 인체자원에 대해 누리집을 통해 분양 신청을 받고 있다. 신청된 자료는 중앙은행 분양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연구자들에게 제공될 예정이다. 자세한 분양 신청 방법 및 필요한 서류는 중앙은행 분양 상담 콜센터(1661-9070) 또는 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 누리집(https://biobank.nih.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국립보건연구원장 박현영은 이번 인체자원 공개가 보건의료 연구 및 희귀질환 진단·치료 기술 개발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은 앞으로도 더 많은 고품질의 인체자원을 확보하여 보건의료 연구 활성화를 위해 적극적으로 공개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25년도에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사업 참여자 6,248명분과 희귀질환 연구 참여자 342명분의 인체자원이 추가로 공개될 예정이다.
더 많은 이야기
‘AI, 나의 거울’ 출간, AI와의 대화로 ‘나’를 더 깊이 이해하는 새로운 통로가 열립니다.
K-바이오 의약품, 2030년까지 수출 2배 늘린다! 나도 혜택 받을 수 있다
APEC 스타트업 얼라이언스 출범! 이제 우리 스타트업도 세계로 뻗어나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