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우리 집 안 환경이 더욱 건강하고 쾌적해질 수 있는 길이 열렸다. 국립환경과학원이 실제 주택과 똑같은 환경을 재현하여 생활 환경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실내환경 융합 실증시험동’을 인천 서구 종합환경연구단지 내에 새롭게 구축하고 9월 2일 문을 열었다.
이번에 문을 연 실내환경 융합 실증시험동은 총 62억 원의 예산이 투입되어 지상 3층, 연면적 1,760㎡ 규모로 지어졌다. 이곳에는 우리가 실제로 살고 있는 공동주택과 똑같이 지어진 실험용 주택 4개 세대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건축 자재에서 나오는 오염 물질을 방출하는 실험을 할 수 있는 실험실, 24㎥ 크기의 대형 챔버, 소음 문제를 연구하는 청감 시험실, 빛공해를 분석하는 시험실까지 갖추고 있다.
국립환경과학원은 이곳에서 미세먼지, 라돈,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등 우리 호흡기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실내 공기 오염 문제를 집중적으로 연구할 계획이다. 더 나아가, 층간 소음과 같은 사회적 문제로 번지기도 하는 소음 문제, 그리고 밤낮없이 우리 생활에 영향을 주는 빛공해까지, 사람이 직접적으로 느끼는 다양한 감각 공해에 대한 연구도 이곳에서 진행된다.
특히, 실제 공동주택 환경을 그대로 옮겨 놓은 듯한 실험용 주택들은 우리 실생활과 더욱 밀접한 연구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예를 들어, 이웃 간 갈등의 원인이 되기도 하는 층간 소음을 줄이는 효과적인 방법은 무엇인지, 또는 요리를 할 때 발생하는 유해 물질에 대한 노출을 최소화하기 위한 적절한 환기 방법은 무엇인지 등을 직접 실험하고 연구하여 개선 방안을 찾을 수 있다.
또한, 건축 자재 오염물질 방출 실험실과 빛공해 시험실은 민간 시험 기관들의 숙련도를 평가하고 관리하는 데에도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이를 통해 시험 결과의 신뢰도를 높여, 정부의 관련 정책을 시행할 때 발생할 수 있는 혼란을 줄이고 정책의 실질적인 효과를 더욱 강화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국립환경과학원 환경건강연구부장의 김수진은 “실내환경 융합 실증시험동이 개소함으로써 더욱 개선된, 실생활과 밀착된 연구가 가능해졌다”라고 밝히며, “앞으로도 국민들의 실내 환경 관리를 위한 정책을 마련하고 이를 제대로 실행하는 데 든든한 기반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더 많은 이야기
‘AI, 나의 거울’ 출간, AI와의 대화로 ‘나’를 더 깊이 이해하는 새로운 통로가 열립니다.
K-바이오 의약품, 2030년까지 수출 2배 늘린다! 나도 혜택 받을 수 있다
APEC 스타트업 얼라이언스 출범! 이제 우리 스타트업도 세계로 뻗어나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