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9월 12일

AI 로봇·자동차 미래, 세계 1등 꿈 현실 된다: 정부, 전폭 지원 나선다

AI 기술이 이끄는 급격한 산업 변화 속에서, 이제는 우리 기업이 AI 로봇과 자동차 분야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제품과 서비스를 만들 수 있도록 정부가 모든 지원을 아끼지 않을 전망이다. 이는 AI 대전환 선도 프로젝트의 본격적인 추진과 함께 현장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다.

**누가, 무엇을 얻을 수 있나?**

이번 정부의 지원은 특히 AI 로봇과 자동차 분야에 집중된다.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최근 경기도 의왕시 현대차그룹 로보틱스랩에서 열린 ‘AI 대전환 릴레이 현장 간담회’에서 이러한 의지를 분명히 밝혔다. “앞으로 5년이 한국 경제가 선도 국가로 도약할 수 있는 골든 타임”이라 강조하며, 정부는 AI 로봇과 자동차 분야에서 우리 기업이 세계 1등 제품과 서비스를 만들 수 있도록 다각적인 지원을 약속했다.

**미래 유망 신산업, 어떻게 선도할 것인가?**

간담회 참석자들은 휴머노이드 로봇과 자율주행차와 같은 피지컬 AI 분야가 제조업 기반과 ICT 인프라 강점을 가진 한국이 선도할 수 있는 미래 유망 신산업이라는 점에 공감대를 형성했다. 하지만 동시에 중국과의 경쟁 심화, 높은 개발 비용, 실증 인프라 부족, 데이터 활용의 어려움 등 현장의 애로사항도 제기되었다.

이에 정부는 구체적인 지원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2030년까지 휴머노이드 로봇 산업 3대 강국 진입을 목표로, 2026년까지 피지컬 AI 원천기술 개발에 150억 원, 범용 휴머노이드 기술 개발에 300억 원을 지원한다. 또한, 2025년부터 2029년까지 휴머노이드 개발·실증지원센터 구축에 100억 원을 투입하는 등 실증 인프라 확충에도 힘쓸 예정이다. 산업 현장에서 로봇의 자유로운 이동을 위한 안전 인증 기준도 마련될 계획이다.

자율주행차 분야 역시 2027년까지 무인 완전 자율주행차(Lv.4) 상용화를 목표로 속도를 낸다. 이를 위해 자율주행 개발 목적의 데이터 활용 제도 개선과 안전 조치를 전제로, 교통약자 보호구역 내 자율주행 허용 등 과감한 규제 완화가 시행될 예정이다. 또한, 자율주행 특화 AI 반도체 개발에 580억 원을 투입하고, 실생활 공간 내 자율주행 기반 공공서비스 실증을 추진하며, Lv.4 자율주행 대중교통 서비스도 최초로 도입할 계획이다. 이러한 내용을 포함한 자율주행 산업 경쟁력 제고 방안은 연내 발표된다.

**신청 시 유의할 점과 추가 팁**

이번 AI 대전환 프로젝트는 현장의 의견을 바탕으로 세부 지원 방안이 마련될 예정이다. 정부는 간담회에서 제기된 다양한 의견을 면밀히 검토하여 정책 수립과 제도 개선에 적극 반영하고, AI 로봇·자동차 분야를 시작으로 지속적인 현장 간담회를 통해 실질적인 지원책을 강구해 나갈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