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9월 12일

9월에도 코로나19 확산세 지속, 환절기 감염 예방수칙으로 건강 지키자

9월 첫째 주에도 코로나19 확산세가 이어지면서, 병원급 표본감시 의료기관의 주간 코로나19 입원환자 수가 10주 연속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환절기 코로나19 감염 예방을 위한 일상 속 호흡기 감염병 예방수칙을 철저히 실천할 필요가 있다.

’25년 36주차(8월 31일~9월 6일) 기준으로, 병원급 의료기관 입원환자 수는 433명으로 나타났다. 이는 26주차(6월 22일~6월 28일) 63명 이후 꾸준히 증가하여 10주 연속 늘어난 수치다. 최근 4주간 입원환자 수는 33주 302명, 34주 367명, 35주 406명, 36주 433명으로 점진적으로 증가했다.

연령별로 살펴보면, 65세 이상이 전체 입원환자(5,306명)의 60.6%인 3,214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50~64세가 17.9%(948명), 19~49세가 10.2%(543명)를 차지했다.

또한, 의원급 호흡기 환자에서 코로나19 바이러스 검출률도 증가세를 지속하고 있다. 36주차 검출률은 39.0%로, 29주차 16.5%에서 꾸준히 상승해왔다. 최근 4주간의 검출률 변화는 33주 31.5%, 34주 32.6%, 35주 37.7%, 36주 39.0% 순으로 나타났다. 다만, 하수 감시에서의 코로나19 바이러스 농도는 전주 대비 소폭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질병관리청은 주간 코로나19 입원환자 발생 증가 폭은 전주 대비 감소했으나, 9월까지 유행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하며 면밀히 모니터링 중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질병관리청은 국민들에게 환절기 코로나19 감염 예방을 위해 일상생활에서 호흡기 감염병 예방수칙을 생활화해 줄 것을 당부했다. 특히 어르신 등 고위험군은 사람이 많이 모이는 실내 행사 참여를 자제하고, 참여 시에는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이 권고된다.

또한, 고위험군이나 고위험군의 가족은 인후통, 기침, 발열 등 코로나19 증상 발현 시 신속히 병원을 방문하여 적절한 진단 및 치료를 받아야 한다. 코로나19에 감염된 경우에는 증상이 호전될 때까지 집에서 충분히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회사나 단체 등에서도 배려가 필요하다.

코로나19 확산세가 이어지고 있는 만큼, 고위험군이 많이 이용하는 의료기관 및 요양시설의 종사자와 방문객은 마스크 착용 등 예방수칙을 더욱 철저히 준수해야 한다.

코로나19 감염 예방 주요 수칙은 다음과 같다. 일상생활에서는 올바른 손 씻기, 주기적인 실내 환기, 기침 예절 준수 등이 기본이다. 기침할 때는 옷소매나 휴지로 입과 코를 가리고, 의료기관이나 감염취약시설 방문 시에는 마스크 착용이 권고된다. 사람이 많고 밀폐된 실내에서는 마스크 착용이 감염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코로나19에 감염된 경우에는 불필요한 만남이나 외출을 자제하고, 외출 시에는 마스크를 착용해야 한다. 발열이나 호흡기 증상이 심한 경우 집에서 쉬어야 하며, 회사 등에서도 구성원이 아프면 쉴 수 있도록 배려하는 환경 조성이 권장된다.

고령층, 면역저하자 등 고위험군은 밀폐된 실내에서 많은 사람이 모이는 장소나 행사 참여를 자제하고, 사람이 많고 밀폐된 실내에서는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발열 및 호흡기 증상이 나타나면 인근 병원에서 신속하게 진료를 받아야 한다.

감염취약시설(요양병원, 요양시설, 정신건강증진시설, 장애인시설 등)에서는 종사자, 보호자, 방문자가 마스크를 착용해야 한다. 주기적인 실내 환기(예: 2시간마다 10분씩)가 중요하며, 코로나19 진단 또는 발열 및 호흡기 증상이 있는 종사자는 쉴 수 있도록 배려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