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국가 에너지 인프라 구축, 내가 사는 지역도 혜택을 받을 수 있다. 9월 26일 시행 예정인 ‘국가기간 전력망 확충 특별법’에 발맞춰,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방자치단체와 함께 국가기간 전력망을 더욱 빠르고 효율적으로 구축하기 위한 협력 체계를 본격 가동한다. 이는 전국 산업 현장과 재생에너지를 잇는 ‘에너지 고속도로’를 만드는 중요한 첫걸음이다.
이번 협의체는 국가기간 전력망이 우리 지역의 경제 성장과 에너지 전환에 어떤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내가 사는 지역이 어떤 혜택을 받을 수 있는지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자리였다. 핵심은 국가기간 전력망 설비 지정에 대한 각 지자체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수렴하고, 전력망 건설에 필요한 부지 확보 및 인허가 절차를 간소화하는 방안을 논의한 것이다. 이를 통해 재생에너지 확대와 국가첨단산업 육성을 위한 필수 기반 시설인 전력망 구축이 더욱 신속하게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서해안 지역의 ‘에너지 고속도로’ 구축을 가속화하기 위한 협력 방안도 집중적으로 논의되었다. 서해안 지역의 송변전 설비 입지 선정, 변환소 부지 확보 및 개발 등은 지역의 적극적인 협력이 필수적이다. 또한, 국토의 효율적인 이용과 공사비 절감을 위해 전력망과 도로를 연계하는 등 사회간접자본(SOC) 공동 건설 방안도 논의되어, 지역 경제 활성화와 국가 경제적 편익 증대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국가기간 전력망 구축의 중요성을 지역 주민들이 더 잘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도록, 지방 공무원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 과정 신설과 지역별 정책 설명회 개최에도 협조를 요청했다. 이미 전라북도, 충청남도, 전라남도, 경기도 등 여러 지역에서 설명회가 예정되어 있어, 우리 지역에서 추진될 사업에 대한 궁금증을 해소하고 참여할 기회를 얻을 수 있다.
이번 협의체에서 논의된 세부 추진 방안은 앞으로 국무총리 주재로 열리는 제1차 전력망 위원회에서 심의 및 의결을 거쳐 최종 확정될 예정이다. 산업통상자원부 이호현 차관은 “전력망 구축은 지역 주민과 지자체가 함께 국가 경제 성장의 대동맥을 만드는 사업”이라며, 중앙정부와 지자체, 관계기관 모두가 주체로서 책임감을 갖고 ‘에너지 고속도로’ 실현에 힘을 모아달라고 당부했다. 이는 곧 우리 지역의 미래 경쟁력을 강화하고 안정적인 에너지 공급을 보장하는 중요한 사업에 우리가 함께 참여한다는 의미이다.


더 많은 이야기
햅쌀 출하 전 원료곡 부족 걱정 끝! 정부양곡 2.5만 톤 추가 공급으로 쌀값 안정 기대
새 정부 경제정책, 해외에서는 이렇게 본다: 우리 삶에 미칠 영향은?
2025년 9월, 내 삶에 영향을 미칠 경제 변화, 미리 확인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