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청년들이 취업 시장에서 다시 일어설 수 있는 든든한 기회가 주어진다. 2025년 9월 10일에 발표된 ‘청년 일자리 첫걸음 보장제’는 잠시 멈춘 청년들에게는 다시 시작할 용기를, 일하고 싶은 청년들에게는 당당히 일할 기회를, 그리고 일하는 청년들에게는 존중받으며 성장할 수 있는 일터를 보장하는 정책이다. 이 제도를 통해 어떤 혜택을 받을 수 있는지, 그리고 내가 이 혜택을 누리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지 자세히 알아보자.
가장 먼저, 취업을 준비하다 잠시 쉬어가거나 실패를 경험한 청년들에게는 재도전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다. 이 제도는 취업하지 않은 청년들의 데이터베이스를 범정부 차원에서 구축하여 장기 미취업 청년들을 적극적으로 찾아 나선다. 단순히 재취업을 알선하는 것을 넘어, 실패가 자연스러운 과정으로 받아들여지는 포용적인 일경험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이 과정에서 겪을 수 있는 심리적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한 상담도 함께 지원한다. 이를 통해 청년들은 좌절감 대신 다시 일어설 수 있다는 희망을 품게 될 것이다.
일하고 싶은 열정이 있는 청년들에게는 실질적인 지원과 함께 미래를 설계할 기회가 열린다. 현장에서 필요한 실무 중심의 AI 융복합 훈련을 포함한 교육을 5만 명의 청년에게 제공하여, 변화하는 노동 시장에 발맞춰 나아갈 수 있도록 돕는다. 또한, 구직 기간이 길어지면서 겪는 경제적 어려움을 덜어주기 위해 구직촉진수당이 월 60만 원으로 인상된다. 이는 단순히 생활비를 지원하는 것을 넘어, 청년들이 안정적인 마음으로 자신에게 맞는 일자리를 탐색하고 준비할 수 있도록 돕는 중요한 발판이 될 것이다.
현재 일하고 있는 청년들 또한 존중받으며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을 기대할 수 있다. 기본적인 노동 여건을 보장하기 위해 주 4.5일제 도입과 같은 노동시간 단축을 통해 일과 삶의 균형, 즉 워라벨을 보장한다. 더불어 청년들의 미래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한 ‘청년미래적금’이 새롭게 신설될 예정이다. 이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청년들이 경제적 안정을 이루고 꿈을 키워나갈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도이다. 또한, 임금체불을 근절하고 산업재해 예방에 힘쓰는 등 안전하고 정당한 보상이 이루어지는 일터를 만들기 위한 노력이 병행될 것이다.
이처럼 ‘청년 일자리 첫걸음 보장제’는 다양한 상황에 놓인 청년들에게 맞춤형 지원을 제공하며, 노동 시장에서의 성공적인 첫걸음을 내딛고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 제도를 통해 청년들이 희망을 잃지 않고 자신의 역량을 마음껏 펼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더 많은 이야기
자동차 부품 업계, 미국 관세 피해 막을 1천억 지원금 받는다
APEC 회의, 식중독 걱정 ‘제로’로 누구나 안심하고 참여할 수 있다.
내년 을지연습, ‘국민 참여형 안보 훈련’으로 더욱 실감 나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