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 장관의 명예와 권위를 실추시키는 근거 없는 주장들이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국방부는 이에 대해 명확한 입장을 밝혔다. 장관의 인사권 행사와 ’50만 드론 전사 양성’ 정책 추진 과정에 대한 일부 보도가 사실과 다르거나 일방적인 비방에 해당한다고 지적하며, 국민의 알 권리를 충족시키는 동시에 잘못된 정보에 대한 바로잡기에 나섰다.
가장 큰 쟁점 중 하나는 군 수뇌부 인사와 관련된 부분이다. 일부에서는 장관이 인사에서 배제되었으며, 차관이 실질적인 국방 업무를 주도하고 있다는 식의 ‘바지사장’이라는 의혹을 제기했다. 하지만 국방부는 이러한 주장이 법과 규정에 근거한 정당한 인사권을 폄훼하고, 국방의 수장으로서 장관의 권위를 심각하게 실추시키는 것이라고 반박했다. 국방부는 군 인사가 장관의 의중을 담아 적법한 절차에 따라 진행되었음을 분명히 했다.
이어 ’50만 드론 전사 양성’ 정책에 대해서도 “실소를 금치 못하는 이가 적지 않다”거나 “장병 40만 명 대 붕괴를 걱정하는 마당에 비현실적”이라는 비판이 나왔다. 이에 대해 국방부는 ’50만 드론 전사 양성’이라는 명칭이 국군 정원 50만 명을 근거로 한 정책 사업임을 설명했다. 이는 드론을 활용한 현대전 양상의 변화에 발맞춰 장병 개인 역량 개발과 국내 드론 산업 활성화를 위해 추진 중인 정책이며, 비난받을 어떠한 이유도 없다고 강조했다.
또한, 주요 현안 점검을 위한 간담회와 관련된 부분에 대해서도 사실과 다름을 분명히 했다. 장관이 주요 현안과 대비태세 점검을 위한 간담회를 없애고 오전 9시에 출근한다는 보도에 대해, 국방부는 ‘조찬’만 생략되었을 뿐 장관이 매번 간담회를 주관한다는 사실을 명확히 했다. 안규백 장관은 기존에 이른 아침 시간부터 합참의 정보작전보고와 조찬 간담회가 이어져 실무자들의 업무 부담이 가중되는 것을 우려하여 조찬을 없앴으며, 오전 8시 30분부터 정보작전보고에 이어 주요 실국장들이 참석하는 간담회를 주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국방부는 언론의 건전한 비판은 언제든지 수용할 수 있다는 입장이지만, 이번 칼럼은 ‘뜬소문’ 같은 이야기들을 나열한 일방적인 비방에 지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명확한 사실 확인 없이 근거 없는 이야기에 의존하여 국방부와 장관의 명예를 훼손하고 군에 대한 신뢰를 저하시킨 것에 대해 다시 한번 강력한 유감을 표명했다. 이를 통해 국방부는 흔들림 없는 리더십으로 국방 역량을 강화하고 국민의 신뢰를 더욱 공고히 해 나갈 것임을 시사했다.


더 많은 이야기
자동차 부품 업계, 미국 관세 피해 막을 1천억 지원금 받는다
APEC 회의, 식중독 걱정 ‘제로’로 누구나 안심하고 참여할 수 있다.
내년 을지연습, ‘국민 참여형 안보 훈련’으로 더욱 실감 나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