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려지는 농산물 찌꺼기가 혁신적인 기술을 만나 미래 산업의 핵심 자원으로 거듭나고 있습니다. 농촌진흥청의 노력으로 농산부산물 새활용(업사이클링) 산업에 대한 규제가 추가로 완화되면서, 앞으로 더 많은 사람들이 이 새로운 산업에서 혜택을 누릴 수 있게 될 전망입니다.
이번에 환경부로부터 규제 유예 제도(규제 샌드박스)를 통해 추가로 승인된 규제 특례는 총 6건입니다. 이는 지난 4월 감귤부산물을 활용한 친환경 소재 및 토양관리자재 개발 기술 승인에 이어 이루어진 성과입니다. 이러한 규제 완화는 농산부산물이 단순한 폐기물이 아닌,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는 길을 열어주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나에게 직접적인 혜택이 돌아오는 부분은 무엇일까요? 바로 이러한 농산부산물 새활용 기술을 통해 만들어지는 다양한 제품들입니다. 이번에 승인된 6개 기업의 사업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식품, 반려동물 식품, 화장품**: ㈜루츠랩은 배와 감귤 착즙 후 남은 찌꺼기를 활용해 그린 에스테르화 및 리사이클링 공정 기술을 적용한 식품, 반려동물 식품, 화장품을 개발합니다.
* **화장품 원료 및 화장품**: ㈜라피끄는 감귤 착즙박, 맥주박, 쌀겨 등을 활용하여 화장품 원료 및 화장품을 만드는 제형 기술을 선보입니다.
* **식물성 가죽**: ㈜그린컨티뉴는 감귤 착즙박과 선인장 잎에서 셀룰로오스 추출 기술을 이용해 만든 식물성 가죽을 개발합니다.
* **포장재, 완충재**: ㈜어스폼은 버섯 재배 후 남은 균사체를 활용하여 포장재 및 완충재로 사용할 수 있는 친환경 소재 기술을 개발합니다.
* **플라스틱 대체 소재**: ㈜어라운드블루는 맥주박, 왕겨, 옥수수, 커피박 등을 활용하여 시엘시(CLC, 가교 결합된 셀룰로오스) 생산 기술로 만든 플라스틱 대체 소재를 개발합니다.
* **고양이 배변용 모래**: ㈜알프레드는 커피박과 펄프 부산물을 활용하여 고양이 배변용 모래를 생산합니다.
이 6개 기업은 앞으로 2년간 이 제품들의 시제품을 판매하며 소비자 만족도 조사, 안전성 검증, 재활용 환경성 평가 등을 진행하게 됩니다. 이를 통해 소비자는 더욱 다양하고 친환경적인 제품들을 만나볼 수 있게 되며, 관련 산업의 발전으로 새로운 일자리 창출 등 경제적 효과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농촌진흥청은 이러한 규제 특례 승인을 통해 농산부산물이 다양한 산업 영역으로 확대될 뿐만 아니라, 지속 가능한 산업 생태계 조성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또한, 농촌진흥청은 새활용 연구 사업을 추진하면서 산업체들의 규제 유예 제도 신청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으며, 관련 부처와 협력하여 현장의 목소리를 정책에 반영하는 노력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농촌진흥청 푸드테크소재과 김진숙 과장은 “농산부산물 새활용은 환경문제 해결과 경제적 가치 창출을 동시에 이룰 수 있는 산업”이라며, “앞으로도 농산부산물 원료화 및 소재화 기술 개발과 규제·제도 개선을 통해 지속 가능한 식품 산업 성장을 뒷받침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우리 주변의 농산물 찌꺼기가 더 이상 버려지지 않고, 우리 생활에 유익한 제품으로 재탄생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줍니다. 앞으로 새롭게 출시될 혁신적인 제품들에 주목해 보시기 바랍니다.


더 많은 이야기
KPOP 스타, 이제 당신 손으로: ‘팬픽 시즌2’ 글로벌 지원자 모집 시작!
불법사금융 피해 막는다! SNS 계정까지 차단, 혜택은 더 커진다
반도체 공장 짓기 더 쉬워진다! AI 시대 핵심, 규제 대폭 완화 혜택 받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