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일반 연구자들도 최첨단 인공지능(AI) 기술을 연구에 직접 활용할 수 있는 길이 열린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가 한국형 ‘과학기술×인공지능(AI)’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기 때문이다. 이 사업은 과학기술 연구 분야에 특화된 AI 기술을 개발하고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이를 통해 연구자들은 기존에는 상상하기 어려웠던 방식으로 연구를 수행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이 사업의 핵심은 바로 ‘분야(도메인) 특화 기초 모형(파운데이션 모델)’과 ‘연구지원 대리인(에이전트)’의 개발이다. 기초 모형은 특정 과학기술 분야의 방대한 데이터를 학습하여 해당 분야의 핵심적인 문제 해결 능력을 갖춘 AI 모델을 의미한다. 연구지원 대리인은 연구자가 AI에게 특정 과제를 지시하면, AI가 스스로 필요한 데이터 탐색, 분석, 실험 설계 등 연구의 전 과정을 지원해주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신약 개발 연구자는 AI 대리인에게 특정 질병에 대한 치료제 후보 물질을 탐색하라고 지시하면, AI가 관련 논문과 데이터를 분석하여 유망한 후보 물질 목록을 제시하는 방식이다.
이를 위해 과기정통부는 산학연 전문가들로 구성된 전담반(TF)을 이미 가동했다. 이 전담반은 앞서 언급한 기초 모형과 연구지원 대리인 개발뿐만 아니라, 연구에 필요한 데이터와 인프라 구축 방안까지 종합적으로 논의한다. 또한, 연구자들이 AI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필요한 연구 지원 체계를 마련하는 데에도 집중할 계획이다.
전담반의 운영 결과는 올해 안에 발표될 「국가 과학기술을 위한 인공지능(AI for S&T) 전략」에 담길 예정이다. 이 전략에는 AI 기술을 과학기술 연구 전반에 접목하기 위한 구체적인 로드맵과 지원 정책이 포함될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자들은 이 전략을 통해 AI 기술이 어떻게 연구 현장에 적용될 수 있는지, 그리고 어떤 지원을 받을 수 있는지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향후 이 사업이 성공적으로 추진된다면, 과학기술 연구의 패러다임 자체가 변화할 수 있다. AI라는 강력한 도구를 활용하여 연구의 효율성과 창의성을 극대화하고, 궁극적으로는 국가 과학기술 경쟁력을 한 단계 끌어올리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연구자들은 앞으로 AI를 연구의 동반자로 삼아 더 혁신적인 성과를 창출할 수 있을 것이다.


더 많은 이야기
불법사금융 피해 막는다! SNS 계정까지 차단, 혜택은 더 커진다
반도체 공장 짓기 더 쉬워진다! AI 시대 핵심, 규제 대폭 완화 혜택 받자
[국토교통부][설명] ‘새만금국제공항 기본계획 취소소송’ 1심 판결 관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