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통계청 분석 결과, 20세에서 39세 사이 청년 한부모 가구의 사회·경제적 특성이 공개되었다. 특히 주목할 점은 청년 한부모 가구가 전체 유자녀 청년 가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7.6%로, 2020년 대비 0.9%p 높아졌다는 사실이다. 이는 청년 한부모 가구가 우리 사회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들에 대한 정책적 지원과 관심이 더욱 필요함을 시사한다.
그렇다면 20대·30대 청년 한부모 가구는 어떤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어떤 지원을 받을 수 있을까? 분석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청년 한부모 가구의 등록 취업 비율은 65.0%로, 양부모 가구주의 86.9%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청년 한부모 가구주의 연간 중위소득은 2,733만원으로, 양부모 가구주(5,197만원)에 비해 현저히 낮은 수준이었다. 이는 경제적 어려움이 청년 한부모 가구가 직면한 주요 과제임을 보여준다.
이러한 경제적 어려움은 주거 문제와도 직결된다. 2023년 청년 한부모 가구주의 주택 소유 비율은 24.0%로, 양부모 가구주(47.7%)의 절반 수준에 그쳤다. 거처 유형별로는 아파트 거주 비율이 54.7%로 가장 높았으나, 양부모 가구에 비해 낮았으며, 공동주택 거주 시 주거 면적 또한 ’40㎡초과~60㎡이하’ 비중이 가장 높아 상대적으로 좁은 공간에서 생활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한편, 청년 한부모 가구의 78.2%는 여성 가구주로 구성되어 있으며, 특히 20대 초반 여성 가구주의 한부모 가구 비율이 42.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는 젊은 나이에 홀로 자녀를 양육해야 하는 부담이 여성에게 집중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처럼 청년 한부모 가구는 경제적 어려움, 주거 불안정, 높은 여성 가구주 비율 등 복합적인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다. 따라서 이들을 위한 실질적인 지원 정책 마련이 시급하다. 단순히 통계 숫자를 넘어, 20대·30대 한부모 가구 모두가 안정적인 삶을 영위하고 자녀를 건강하게 양육할 수 있도록 돕는 사회적 노력이 필요하다.
정확한 통계에 따르면 2023년 유자녀 청년 가구 중 한부모 가구의 비중은 7.6%이며, 이는 2020년 대비 0.9%p 증가한 수치이다. 전체 청년 한부모 가구 수는 2020년 9만 3천 가구에서 2023년 8만 1천 가구로 12.6% 감소했지만, 가구 내 비중은 늘어난 것이다. 청년 한부모 가구 중 ‘모와 자녀’로만 구성된 가구는 66.9%에 달하며, ‘부와 자녀’로 구성된 가구는 16.9%이다.
가구주 성별로는 여성 가구주가 78.2%를 차지하는 반면, 양부모 가구는 남성 가구주가 73.9%로 높았다. 연령별로는 30대 한부모 가구주의 비중이 89.9%로 양부모 가구주(95.7%)보다 낮았으나, 20대 한부모 가구주의 비중은 10.1%로 양부모 가구주(4.3%)보다 높게 나타났다.
경제 활동 측면에서 2023년 청년 한부모 가구주의 등록 취업 비율은 65.0%로, 양부모 가구주(86.9%)보다 21.9%p 낮았다. 이는 성별에 관계없이 한부모 가구주의 취업 비율이 양부모 가구주보다 낮은 경향을 보였다.
가구주 소득은 2023년 기준 청년 한부모 가구주(2,733만원)의 연간 중위소득이 양부모 가구주(5,197만원)보다 절반 가까이 낮은 수준이었다. 연령이 높아질수록 한부모 가구주와 양부모 가구주의 소득 차이가 더욱 커지는 양상을 보였다.
주택 소유 역시 차이를 보였다. 2023년 청년 한부모 가구주의 주택 소유 비중은 24.0%로, 양부모 가구주(47.7%)보다 23.7%p 낮았다. 연령이 높을수록 두 그룹 간의 주택 소유 비중 격차는 확대되었다.
거처 유형으로는 청년 한부모가구가 아파트에 거주하는 비율이 54.7%였으나, 양부모 가구의 아파트 거주 비율보다는 낮았다. 대신 단독주택(24.6%) 및 연립·다세대주택(15.2%) 거주 비율은 양부모 가구보다 높게 나타났다. 공동주택 거주 시, 한부모 가구는 ’40㎡초과~60㎡이하’ 면적에 거주하는 비율이 가장 높은 반면, 양부모 가구는 ’60㎡초과~100㎡이하’ 면적에 거주하는 비율이 가장 높아 주거 면적에서도 차이를 보였다.


더 많은 이야기
새만금국제공항, 1심 판결로 사업 불확실성 커져… 시민 혜택은?
카자흐스탄 동포 지원, 이제 더 쉽고 든든해진다
나도 외교 현안 논의 통해 실질적 혜택 얻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