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 위기가 현실로 다가오면서, 우리 사회는 ‘2050 탄소중립’이라는 중대한 전환점에 서 있다. 금융감독원과 이화여대가 공동으로 주최한 ‘2025 국제컨퍼런스’는 이러한 시대적 과제에 대한 해법을 모색하는 자리였다. 필립 베르투 주한 프랑스대사, 페이터 반 더 플리트 주한 네덜란드대사 등 국내외 귀빈들이 참석한 가운데, 이삼봉홀에서는 기후 위기 대응을 위한 에너지 대전환의 중요성이 강조되었다.
이번 컨퍼런스는 올여름 기록적인 폭우로 6개 지역이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될 만큼 심각한 기후 위협을 직접적으로 경험한 우리 사회의 현실을 반영했다. 이제 기후 위기는 단순한 환경 문제를 넘어 생존의 문제로 인식되고 있으며, 탄소 감축과 친환경·신재생 에너지로의 전환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과제가 되었다.
대한민국 정부는 이러한 문제 인식 하에 ‘2050 탄소중립’ 목표를 설정하고 국가 에너지 대전환 프로젝트를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이를 위해 차세대 전력망 확충, RE100 산업단지 조성, 그리고 전국을 촘촘하게 연결하는 에너지 고속도로 구축 등을 통해 에너지 전환을 가속화할 계획이다. 또한, 에너지 전환 과정에서 발생하는 기술 혁신이 경제 성장에 기여하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정부의 노력만으로는 에너지 대전환을 성공적으로 이끌 수 없다. 더 강한 자연재해에 대비할 수 있는 시설을 구축하고, 효율적인 탄소 저감을 위한 기술 개발에 더욱 과감한 자본 투자가 필요하다. 이러한 점에서 금융권의 역할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 금융인들이 창의적인 금융 상품과 투자 전략을 마련하여 에너지 대전환에 적극 동참해 줄 것을 기대하고 있다. 대한민국 정부 역시 이러한 금융권의 노력에 발맞춰 최선을 다해 지원하며 함께 나아갈 것이다.


더 많은 이야기
차세대 태양광 기술, ‘이것’으로 국내 태양광 산업이 뜬다!
[국토교통부]"걸으면서 만나는 우리 동네 이야기" 15일부터 도시재생 스탬프 투어
SKT 고객정보 유출 사고, 개인정보 안전관리 체계 전면 강화로 더 안전하게 보호받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