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들이 앞으로 당직 근무를 훨씬 수월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정부와 공무원 노조가 머리를 맞대고 당직 제도를 획기적으로 개선하기로 했기 때문이다. 특히 인공지능(AI)을 활용해 반복적이고 불필요한 업무를 줄이는 방안이 적극 검토되고 있다.
이번 당직 제도 개편은 지난 7월 24일 대통령실 수석보좌관회의에서 나온 ‘정부 당직제도 전면 개편’ 발표에 따른 후속 조치다. 인사혁신처는 11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국가공무원노동조합, 전국공무원노동조합, 공무원노동조합연맹 등 3개 노조와 함께 정책간담회를 열고 구체적인 개선 방향을 논의했다.
**AI 활용으로 당직 업무 확 줄어든다**
간담회에 참석한 노조 측은 당직 근무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인공지능(AI) 활용을 강력히 제안했다. 임동수 국가공무원노동조합 사무총장은 “당직실과 상황실을 통합 운영하고, 인공지능 등을 활용해 당직 업무 부담을 덜어야 한다”며 “오랫동안 관례적으로 이어져 온 방식을 획기적으로 개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상국 전국공무원노동조합 중앙행정기관본부장 역시 “공무원들의 불필요한 업무를 없애기 위해 인공지능이나 민간 경비업체를 활용하는 방안도 진지하게 고민해야 할 때”라고 덧붙였다.
인사혁신처도 이러한 노조의 의견을 적극 수렴하겠다는 방침이다. 천지윤 인사처 윤리복무국장은 “인공지능 기술 발전 등 최근 변화를 반영해 대기성 당직 근무를 최소화하면서도 정부의 긴급 상황 대응력은 유지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며 “효율적인 당직 근무를 위한 개선 방안을 구체화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지난해 57만 명 넘는 공무원 당직 투입**
실제로 지난해 전국 1171개 기관에서 당직 근무에 투입된 국가공무원은 총 57만 752명에 달했다. 이처럼 많은 공무원이 당직 업무에 시간을 쏟고 있는 만큼, 제도 개선을 통해 업무 경감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당직 제도 개편 논의는 인공지능을 비롯한 최신 기술을 공무원 업무에 접목하여 효율성을 높이고, 궁극적으로 공무원들이 보다 핵심적인 업무에 집중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중요한 발걸음이 될 것으로 보인다.


더 많은 이야기
불법사금융 피해 막는다! SNS 계정까지 차단, 혜택은 더 커진다
반도체 공장 짓기 더 쉬워진다! AI 시대 핵심, 규제 대폭 완화 혜택 받자
[국토교통부][설명] ‘새만금국제공항 기본계획 취소소송’ 1심 판결 관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