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9월 10일

아세안+3, 동아시아정상회의 참가, 한국의 혜택은?

말레이시아에서 개최된 아세안+3(APT) 및 동아시아정상회의(EAS) 고위관리회의에 대한민국 외교부 관계자가 참석하여 우리 정부의 외교 기조와 협력 강화 방안을 알렸다. 이번 회의는 오는 10월 예정된 아세안 관련 정상회의를 준비하기 위한 자리였다.

아세안+3는 1997년 금융위기를 계기로 출범한 아세안 10개국과 한국, 일본, 중국 간의 회의체로, 경제 등 20여 개 분야에서 기능 협력을 추진하며 역내에서 가장 제도화된 협력체로 평가받고 있다. 동아시아정상회의(EAS)는 2005년에 출범했으며, 아세안 10개국을 포함해 한국, 일본, 중국, 호주, 뉴질랜드, 인도, 미국, 러시아 등 총 18개 역내 주요국 정상들이 참여하는 전략적 협의체다.

이번 회의에서 우리 정부는 ‘아세안 공동체 비전 2045’에 대한 지지를 재확인하며, 아세안 중심성과 공동의 이익 실현, 그리고 아세안 메커니즘 발전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임을 분명히 했다. ‘아세안 공동체 비전 2045’는 2025년 5월 제46차 아세안 정상회의에서 채택될 예정이며, 향후 20년간 아세안의 미래 방향을 제시하는 장기 전략문서로 ‘회복력 있는, 혁신적, 역동적, 사람 중심의 아세안’ 공동체 실현을 비전으로 삼고 있다.

특히 아세안+3 고위관리회의에서 한국 대표는 역내 경제 활성화와 복원력 증진을 위한 과제로 디지털 전환, 스타트업 육성, 그리고 숙련 노동인력 양성 분야에서의 한국의 기여 방안을 제시하며 아세안+3 차원의 협력 강화 의지를 밝혔다.

또한, 10월에 개최될 제20차 동아시아정상회의(EAS)에서 ‘EAS 20주년 쿠알라룸푸르 선언’과 같은 의미 있는 결과문서 채택을 통해 EAS가 정상 주도 포럼으로서의 위상을 재확인하고, 한반도, 미얀마, 남중국해 등 역내 주요 현안에 대한 전략적 소통을 강화하며, 역내 전통 및 비전통적 도전 과제에 대한 공동 대응 의지를 결집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전했다.

한국 정부는 한반도의 긴장 완화와 신뢰 구축을 위한 조치들을 선제적으로 취해왔으며, 앞으로도 대화와 협력을 통해 한반도 평화와 북핵 문제 해결의 실질적인 진전을 위해 일관되게 노력할 것임을 설명하며, 이러한 노력에 대한 아세안 및 EAS 회원국들의 지지를 요청했다.

우리 정부는 이번 고위관리회의에서 논의된 내용을 바탕으로 오는 10월 열리는 아세안 관련 정상회의(한-아세안, 아세안+3, 동아시아정상회의)의 성공적인 개최를 위해 참여국들과 긴밀히 협력해 나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