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에서 인기 있는 근육 보충제나 어린이용품을 직구할 때 유해 성분 걱정을 덜 수 있게 되었다. 관세청이 국민 생활과 밀접한 해외직구 물품 145종에 대한 안전성 분석을 실시한 결과, 총 51종에서 기준치를 초과하거나 사용해서는 안 되는 유해 성분이 검출되었기 때문이다. 이는 전체 분석 대상의 약 35.2%에 해당하는 수치다.
이번 분석은 2025년 1월부터 8월까지의 실적을 바탕으로 이루어졌으며, 특히 건강식품과 어린이제품에 초점을 맞췄다. 건강식품 분야에서는 근육 강화 효과를 표방하는 제품 35종을 분석했는데, 이 중 17종(48.6%)에서 식품에 사용할 수 없는 의약 성분이 검출되었다. 대표적으로 국내 반입 차단 성분으로 지정된 선택적 안드로겐 수용체 조절물질(SARMs)과 발기부전치료제 성분인 타다라필(Tadalafil)이 다수 확인되었다. SARMs는 근육 증가나 체지방 감소 효과를 기대할 수 있지만, 심장마비나 뇌졸중과 같은 심각한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다. 타다라필 역시 심근경색, 협심증 등 심혈관 질환의 위험을 높일 수 있는 성분이다.
어린이제품 분야에서는 아동용 섬유제품, 학용품 등 110종을 분석하여 34종(30.9%)에서 국내 안전 기준치를 초과하는 유해 성분을 발견했다. 특히 어린이 신발에서는 기준치의 최대 405배를 초과하는 프탈레이트계 가소제가 검출되었는데, 이는 내분비계 장애, 생식 기능 및 신체 성장 저해를 일으킬 수 있는 대표적인 환경 호르몬이다. 어린이 장신구에서는 기준치의 최대 5,680배에 달하는 카드뮴이 나왔다. 카드뮴은 국제암연구소에서 지정한 1급 발암물질로 독성이 매우 강하다. 또한 어린이 연필 가방에서는 기준치를 15배 초과하는 납이 검출되었는데, 납 중독은 신장, 신경계, 소화계, 생식계 등 다양한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관세청은 이번에 유해 성분이 검출된 51종의 제품에 대해 온라인 판매 페이지 차단을 요청하고 통관 관리를 강화하여 국내 반입을 막는 조치를 취했다. 또한, 국민들이 유해 제품을 사전에 인지하고 구매를 피할 수 있도록 관세청 누리집에 상세 정보를 공개하고 있다. (관세청 누리집 www.customs.go.kr > 알림·소식 > 홍보마당 > 해외직구 유해성분 함유제품 정보) 식품의 경우 식품안전나라(www.foodsafetykorea.go.kr)에서도 관련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관세청은 앞으로도 국민들의 안전을 위해 해외직구 물품에 대한 안전성 분석을 지속적으로 실시할 계획이다.
더 많은 이야기
국민성장펀드, 더 나은 미래를 위한 당신의 기회를 열어드립니다
롯데백화점에서 5만원 이상 구매하면 온누리상품권 5천원 받는다
청년 창업가, 꿈을 현실로! 2025 블루밍 데이에서 당신의 아이디어를 꽃피우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