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 인공지능(AI) 기술 개발과 실증 지원이 본격화되면서, 일반 시민들도 첨단 의료 AI의 혜택을 더 가까이에서 누릴 수 있게 될 전망이다. 특히 스타트업과 중소기업들이 의료 AI 연구개발에 필요한 데이터를 쉽게 확보하고, 개발된 AI 제품과 솔루션의 성능을 실제 의료 현장에서 검증받을 수 있도록 정부 지원이 대폭 확대된다.
그렇다면 이러한 의료 AI 발전의 혜택을 어떻게 실질적으로 체감할 수 있을까? 이는 바로 의료데이터 중심병원 사업을 통해 이루어진다. 의료데이터 중심병원은 병원에 축적된 방대한 의료 데이터를 디지털 의료 연구에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에 참여하는 7개 컨소시엄, 총 43개 의료기관을 의미한다. 이 사업은 고려대병원, 부산대병원, 삼성서울병원, 서울대병원, 서울성모병원, 세브란스병원, 한림대성심병원 등 유수의 의료기관들이 주관기관으로 참여하고 있다.
정부는 내년에 의료 AI 연구개발에 필요한 데이터를 의료기관에서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바우처 지원을 기존 8개 과제에서 40개 과제로 대폭 확대할 계획이다. 이는 신생 기업이나 중소 규모의 AI 개발사들이 고품질의 의료 데이터를 이전보다 훨씬 용이하게 확보하여 혁신적인 AI 기술을 개발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 주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새롭게 신설되는 실증 지원 사업을 통해 개발된 20개의 의료 AI 제품 및 솔루션은 실제 의료 현장에서의 성능과 안전성을 검증받게 된다. 이 과정에서 의료데이터 중심병원은 기업과 긴밀하게 협력하여 의료데이터 제공 및 활용, 나아가 실증에 이르는 전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즉, 환자들은 향후 이러한 검증 과정을 거친 더욱 정교하고 신뢰할 수 있는 의료 AI 서비스를 경험하게 될 것이다.
보건복지부 이형훈 제2차관은 “의료기관은 의료 AI 기술 개발에 필수적인 의료데이터를 보유하고 있으며, AI 제품·솔루션의 실제 수요처로서 연구 설계부터 실증까지 지원이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이러한 정부의 적극적인 의지는 앞으로도 현장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며 의료 AI 발전을 위한 다각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는 의지를 보여준다.
앞으로 의료데이터 중심병원은 기업과의 협력을 더욱 강화하여, 혁신적인 의료 AI 기술이 빠르게 개발되고 실제 의료 현장에 적용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할 것이다. 이는 결국 시민들이 더욱 발전된 의료 서비스를 통해 건강 증진과 질병 예방이라는 실질적인 혜택을 누리게 되는 중요한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더 많은 이야기
미국 진출 기업이라면 주목! 비자 문제, 정부가 돕습니다
2025년 우수 환경 기술 기업, 해외 시장 진출 꿈 이룬다
공직 꿈, 현실로! 2025 공직박람회에서 모든 정보와 체험 기회를 잡아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