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이스피싱으로 인한 금전적 피해가 올해 상반기에만 6,000억 원을 넘어서며 국민의 일상과 사회적 신뢰를 심각하게 훼손하는 심각한 민생 범죄로 떠오르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정부와 민간이 힘을 합쳐 인공지능(AI) 기반의 보이스피싱 탐지 기술을 고도화하는 새로운 협력 체계를 구축했다. 이제 AI 기술을 활용하여 보이스피싱 피해를 예방하고 실질적인 감소를 이끌어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에 발족한 ‘보이스피싱 대응 R&D 민·관 협의체’는 지난 8일 열린 ‘보이스피싱 대응 현장소통 간담회’와 28일 발표된 ‘보이스피싱 근절 종합대책’의 핵심 과제인 ‘AI 기반 보이스피싱 탐지·차단 체계 구축’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첫걸음이다. 협의체는 각 기관이 보유한 보이스피싱 관련 데이터를 안전하게 공유하고, 이를 연계·분석하여 AI 탐지 모델의 성능을 높이는 데 집중한다.
이 협의체에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을 비롯해 개인정보보호위원회, 경찰청,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등 정부 및 공공기관이 참여한다. 더불어 이동통신 3사(SKT, KT, LGU+), 삼성전자,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한국과학기술원(KAIST) 등 주요 민간 및 R&D 기관도 함께한다.
협의체는 앞으로 반기별로 운영되며, 기관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새로운 과제를 지속적으로 발굴해 나갈 예정이다. 이번 발족식에서는 협의체의 운영 방향과 함께 ▲비식별(가명) 데이터 공유 플랫폼의 민·관 활용 및 확산 방안 ▲현장의 요구를 반영한 R&D 개발 ▲기관별 대응 현황 공유 및 R&D 연계·적용 방안 등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참석자들은 경찰청,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등에서 수집한 차단 데이터와 범죄 의심 정보를 가명 처리하여 연구·개발에 제공하면, AI 기반 탐지 모델의 정확도와 현장 적용성이 크게 향상될 것이라는 데 뜻을 같이했다. 또한, 연구 성과가 현장에서 즉시 활용될 수 있도록 제도적·기술적 연계 장치를 마련하는 것의 중요성도 강조되었다.
이도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통신정책관은 “보이스피싱은 단순한 금전적 피해를 넘어 국민의 신뢰와 안전을 위협하는 범죄”라며, “현장의 요구를 바탕으로 협의체를 출범시킨 만큼, 민관이 힘을 합쳐 실질적인 보이스피싱 대응 R&D 성과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그는 또한 “AI 기술을 활용한 보이스피싱 조기 탐지·예측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이며, 기술을 이용한 범죄에는 더 앞선 기술로 맞서야 한다는 책임감을 가지고 R&D 결과가 국민의 체감 안전으로 이어지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덧붙였다.


더 많은 이야기
영호남 상생협력, ‘진짜 대한민국’ 만드는 기회, 나도 동참할 수 있다
중국산 훈제오리 AI 유전자 검출! 유통 차단 및 수입 중단으로 안심하세요
동포 지원 혜택, 더 촘촘하고 편리하게 받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