콩 농사를 짓는 농가라면 주목해야 할 소식이다. 꼬투리가 자라고 콩알이 차오르는 생육 후기, 즉 9월에는 병해충 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올해 9월은 평년보다 높은 기온과 많은 강수량이 예상되어 병해충 발생에 더욱 주의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 시기의 병해충은 콩의 수확량과 품질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지금부터 철저히 대비해야 한다.
특히 주의해야 할 병해로는 자주무늬병, 탄저병, 미라병이 있다. 자주무늬병에 걸리면 잎이 진한 보라색으로 변하면서 크기와 형태가 일정하지 않은 병반이 나타나고, 감염된 종자는 자줏빛을 띠게 된다. 온습도가 높은 환경에서 잘 발생하므로, 초기 발생 시 등록된 약제를 살포하는 것이 피해를 줄이는 방법이다. 탄저병은 줄기나 꼬투리에 불규칙한 갈색 반점을 만들며, 콩알이 작아지거나 변색되고 심하면 썩거나 맺히지 않아 수확량이 크게 감소할 수 있다. 다행히 탄저병은 항공방제 전용 약제가 등록되어 있어 무인 항공기를 이용한 방제가 가능하다. 미라병 역시 따뜻하고 습한 환경에서 발생하며 잎, 꼬투리, 줄기 등 다양한 부위를 감염시킨다. 줄기에는 작은 검은 점이 한 줄로 나타나고, 종자는 회백색으로 변하며 갈라지거나 길게 변형되는 특징을 보인다.
해충 중에서는 노린재류를 철저히 관리해야 한다. 노린재류는 콩알이 차오르고 익어가는 시기에 피해를 주는데, 빈 꼬투리를 만들거나 종실 색을 변하게 하여 수확량과 품질을 크게 떨어뜨린다. 특히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는 멀리까지 이동하여 큰 피해를 주는 해충이므로, 개화기 이후에는 수시로 발생 여부를 확인하고 발생 초기에 등록된 약제를 살포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노린재류는 이동이 적은 오전 시간대에 방제하면 더 큰 효과를 볼 수 있으며, 이 역시 항공방제 전용 약제를 활용할 수 있다.
농가에서는 병해충 약제를 사용할 때 반드시 안전사용기준을 지켜야 한다. 병해충 방제에 대한 자세한 약제 정보는 농촌진흥청 농약안전정보시스템(pris.rda.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농촌진흥청 스마트생산기술과 고지연 과장은 “생육 후기의 병해충 관리는 한 해 농사의 성패를 좌우하는 만큼, 매우 철저하게 방제하고 관리해야 한다.”라며, “안정적인 콩 생산을 위해 현장 관리에 더욱 힘써 줄 것을 당부한다.”라고 강조했다.
더 많은 이야기
소방청, 첨단 R&D 강화와 소방관 마음 건강 지원 확대… 국민 안전 위한 새 정책 발표
AI 시대, IT 기술로 당신의 행복을 키우세요! 「2025 국민행복 IT 경진대회」가 기회를 열어드립니다
새만금 신재생에너지 박람회, 미래 에너지 거점 도약 기회 잡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