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연구 개발(R&D) 투자를 통해 탄생한 우수한 공공기술을 사업화할 기회를 얻고 싶다면 주목해야 할 행사가 열린다. 10개 부처가 공동으로 주최하는 ‘2025년 범부처 공공기술 이전·사업화 로드쇼’가 9월 8일 월요일 13시 과학기술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된다. 이 행사는 정부 R&D로 창출된 기술이 산업 현장에서 성공적으로 이전되고 사업화될 수 있도록 기술을 제공하는 기관과 이를 필요로 하는 기업들을 한자리에 모으는 만남의 장이다.
이번 로드쇼에는 총 117개 연구기관, 즉 64개 대학과 51개 공공연구기관, 2개 병원에서 사업화 가능성이 높은 총 1,863개의 기술이 출품된다. 참가 기업들은 이 기술들에 대한 이전 상담 및 설명회에 참여하여 자신들의 사업에 필요한 혁신 기술을 발굴할 수 있다. 특히 이번 행사에는 농촌진흥청과 우주항공청이 새롭게 참여하여 역대 최다인 10개 부처가 공동으로 행사를 주최하며, 사업 주관 기관도 12개 기관으로 늘어나는 등 범정부적인 협력 체계를 바탕으로 더욱 풍성한 기회를 제공할 예정이다. 2013년 중소기업청과 특허청 2개 부처로 시작했던 이 로드쇼는 해마다 참여 부처가 늘어 2025년에는 10개 부처가 함께하는 행사로 발전했다.
이번 로드쇼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실제 기술이전 협약 체결이 진행된다는 점이다. 작년과 달리, 이번 행사에서는 공공기술을 필요로 하는 기업과 연구기관 간의 기술이전 협약식 2건과 의향서 10건 체결이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서울시립대는 건축 내장재 전문 기업인 ㈜유창과 「건축물 내 음향 환경 개선을 위한 흡음재 거치형 천장구조체 및 시공방법」 기술 이전을 위한 협약을 맺는다. 또한, 극지연구소는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예측 기상 인자들을 이용한 연간 식생 변동 예측 방법 및 장치」 기술을 공조 전문 기업인 ㈜에어컨포유에 이전하는 협약을 체결한다.
행사장에서는 제품 및 기술 전시 부스 4개도 운영된다. 한양대학교가 개발한 「시공간 추론 기반 우주교통 관제시스템」은 인공위성의 안전한 궤도 유지를 돕는 충돌 방지 기술로, 실제 미 우주군(USSF)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 기술은 김덕수 교수의 기하학과 AI 융합 연구를 통해 우주 환경, 안보, 교통 지도를 시각화하는 기능을 구현했다.
이와 더불어 지식재산 창출, 활용, 경영 역량이 뛰어난 ‘지식재산 경영 우수기관’ 12곳에 대한 시상식도 함께 열린다. 이들 기관은 2025년 지식재산 경영진단에 참여한 148개 대학 및 공공연구기관 중 우수한 성과를 인정받아 선정되었으며, 특허청장상과 함께 특허수수료 납부에 사용할 수 있는 지식재산 포인트도 받게 된다.
목성호 특허청 차장은 “엄선된 우수 공공기술이 기업과 만나 훌륭한 제품과 서비스로 탄생하길 기대한다”며, “특허청은 관련 부처 및 기관과의 협력을 강화하여 특허기술 거래 및 사업화 시장 활성화를 위한 정책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더 많은 이야기
외교부 후원 국제해양법 워크숍, 아프리카 국가 해양법 역량 강화 돕는다
국방부 차관, 해외 4개국과 만나 국방·방산 협력 강화 방안 논의
이재명 대통령, 새 정부 핵심 인선 발표! 나도 혜택 받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