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AI) 기술이 대한민국 미래를 바꿀 핵심 동력으로 부상한다. 오늘, 국가인공지능전략위원회가 공식 출범하며 AI 시대를 선도할 대한민국의 새로운 미래를 열어갈 것을 선포했다. ‘진짜 성장, AI로 열어갈 대한민국의 미래’라는 슬로건 아래, 이 위원회는 앞으로 대한민국 AI 정책의 모든 것을 총괄하고 심의・의결하는 최상위 전략기구로서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 위원회의 가장 큰 변화는 바로 ‘국민’에게 있다. 이제 AI는 전문가들만의 영역이 아닌, 국민 모두가 그 혜택을 직접 체감할 수 있도록 공공의 가치와 민간의 역량을 결합하여 운영될 예정이다. 특히, **’모두의 AI, 국민 모두를 위한 인공지능’** 실현을 최우선 과제로 삼아, AI 전환의 혜택을 모든 국민이 누릴 수 있도록 혁혁한 기여를 한다는 방침이다.
이러한 목표 달성을 위해 ▲대한민국 AI 액션플랜 추진 방향 ▲AI 고속도로 구축을 위한 국가 AI 컴퓨팅 센터 추진 방안 ▲AI 기본법 하위법령 제정 방향 등이 심도 있게 논의되었다. 이재명 대통령은 모두 발언을 통해 AI 액션플랜의 추진 방향과 AI 컴퓨팅 센터 구축 방안을 심의・의결하는 한편, AI 기본법 하위법령 제정 방향에 대한 보고를 받았다.
특히, AI 액션플랜을 발제한 임문영 상근 부위원장은 국가인공지능전략위원회를 미래지향적이고 임무 지향적인 조직으로 운영하여 공공의 가치와 창의적인 민간 역량을 효과적으로 결합하겠다고 밝혔다. 이어진 논의에서는 AI를 통한 국가 경쟁력 제고 전략, 효율적이고 안전한 AI 학습용 데이터 활용 방안 등 다양한 의견이 제시되었다.
국민 개개인의 삶과 직접적으로 연결될 변화도 주목할 만하다. 조준희 산업AX․생태계 분과장은 기존의 공적개발원조(ODA) 사업을 한국형 AI 보급 사업으로 전환하여, 원조를 받는 국가와 대한민국이 동반 성장하는 모델을 제안했다. 백은옥 데이터 분과장은 보건 의료 데이터처럼 국민 신뢰가 중요한 분야에서는 현장의 요구를 반영한 산업계와의 긴밀한 협력이 중요하다고 강조하며, 제조업 데이터의 현장 활용을 위한 협력을 약속했다. 석차옥 과학·인재 분과장은 AI 전문 인재 양성의 중요성을 역설하며, 초중고부터 대학 교육 시스템 전반을 AI 시대에 맞춰 재설계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이러한 제안들에 대해, 한국형 AI를 ODA 사업을 통해 제3세계에 지원하는 것은 상호 이익을 창출하는 ‘윈윈’ 전략이 될 것이라고 화답했다. 또한, ODA 내용을 AI 변화에 맞춰 현대적으로 개편하면 글로벌 시장 개척에도 큰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처럼 국가인공지능전략위원회의 출범은 단순한 기술 발전 선언을 넘어, AI가 가져올 혜택을 모든 국민이 누릴 수 있도록 하는 실질적인 변화를 예고한다. 정치와 행정의 근본이 국민의 더 나은 삶에 있다는 점을 명심하며, AI 기술이 만들어갈 풍요로운 미래를 기대해 본다.
이 브리핑은 2025년 9월 8일 대통령실 대변인 강유정에 의해 진행되었다.
더 많은 이야기
AI 3대 강국 도약, 나도 혜택 누린다
필리핀 국방력 강화, 이제 한국 기업과 함께! FA-50 2차 계약 등 협력 확대
AI 3대 강국 도약, 나도 혜택 받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