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사이버 안보 위협에 더욱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국제 협력의 장이 마련된다. 국방부는 2025년 9월 8일 서울 롯데호텔에서 제10차 사이버워킹그룹을 개최하고, 급증하는 사이버 및 인공지능(AI) 융합 위협에 대한 국제사회의 공조 방안을 심도 있게 논의했다.
이날 윤봉희 국방정책실장 직무대리가 주관한 이번 회의에는 미국, 호주, 캐나다, 에스토니아, 프랑스, 일본, 폴란드, 베트남 등 40여 개 국가에서 국방 사이버 안보 분야의 주요 인사 200여 명이 참석했다. 2014년부터 이어져 온 사이버워킹그룹은 국방 사이버 안보 이슈를 다루는 다자안보 포럼으로, 올해로 10회를 맞이하며 그 중요성을 더했다.
회의는 윤봉희 국방정책실장 직무대리의 개회사로 시작되었다. 그는 최근 급속도로 발전하는 AI 기술과 사이버가 융합되면서 군사적 위협의 복잡성과 예측 불가능성이 증대하고 있음을 강조했다. 특히 국방 AI 자체에 대한 사이버 위협도 증가하고 있다고 지적하며, 이러한 복합 안보 위협에 단일 국가 대응만으로는 한계가 있음을 분명히 했다. 따라서 각국의 정보 공유와 국제사회의 긴밀한 공조가 절실히 필요함을 역설했다.
이후 진행된 전문가 패널 토의에서는 ‘경계를 넘어: 사이버와 AI가 융합된 복합 안보위협 대응’을 주제로 열띤 논의가 펼쳐졌다. 크리스토퍼 화이트 버지니아 커먼웰스대학교 교수는 미국의 사이버 방어 작전에서 AI 활용 사례를 공유하며, 안전하고 효과적인 AI 기술 활용 방안과 정보 공유를 통한 국제적 상호 운용성 구축 방안을 제언했다. 또한, 데이브 야커 캐나다 사이버사령부 사령관은 국방 AI 분야의 사이버 위협 현황을 상세히 설명하며, 사이버 영역에서 AI를 활용한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강력한 사이버 보안과 훈련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패널 토의에는 미호코 마츠바라 일본 NTT 최고 사이버보안전략책임자, 단 크리스티안 운그레아누 나토 사이버방위센터 사이버 훈련 책임자, 김휘강 고려대학교 스마트보안학부장, 신정규 래블업 대표 등도 참여했다. 이들은 복합 안보 위협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민·관·군 거버넌스의 중요성, 정보 공유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기술적 조건, 국제 공조 체계 구축을 위한 신뢰성 확보 방안 등에 대해 심층적인 토의를 진행하며 구체적인 협력 방안을 모색했다.
국방부는 앞으로도 서울안보대화 사이버워킹그룹이 글로벌 사이버 안보 분야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일 예정이다.
더 많은 이야기
외교부 후원 국제해양법 워크숍, 아프리카 국가 해양법 역량 강화 돕는다
국방부 차관, 해외 4개국과 만나 국방·방산 협력 강화 방안 논의
이재명 대통령, 새 정부 핵심 인선 발표! 나도 혜택 받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