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8월, 우리나라 노동 시장에 새로운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습니다. 고용보험에 가입된 상시 근로자가 1,562만 7천 명으로 작년 같은 달보다 18만 2천 명, 1.2% 늘어나면서 안정적인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러한 노동 시장의 변화가 여러분에게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그리고 어떤 혜택을 받을 수 있는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서비스업은 활기, 제조업과 건설업은 주춤**
이번 통계에서 가장 눈에 띄는 변화는 서비스업의 고용 증가입니다. 보건복지, 사업서비스, 전문과학, 숙박음식, 운수창고업을 중심으로 일자리가 늘어났습니다. 특히, 도소매업과 정보통신업의 감소 폭은 줄어들었습니다. 이는 서비스 분야에서 새로운 기회가 많이 생겨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반면, 제조업과 건설업에서는 일자리 감소세가 이어졌습니다. 제조업에서는 자동차, 의약품, 식료품, 화학제품 분야에서는 증가세를 보였지만, 금속가공, 섬유, 기계장비, 고무·플라스틱, 1차 금속 분야에서는 감소가 지속되었습니다. 건설업 역시 종합건설업을 중심으로 일자리가 줄었지만, 그 감소 폭은 둔화되는 추세를 보였습니다.
**구직급여, 신청자 줄고 지급자는 늘어**
만약 실직으로 인해 구직급여를 신청해야 한다면, 2025년 8월에는 상황이 다소 달라질 수 있습니다. 구직급여 신규 신청자는 8만 1천 명으로 작년 같은 달보다 5천 명, 6.3% 감소했습니다. 특히 건설업(-2천 명, -10.7%)과 도소매업(-1천 명, -6.5%)에서 감소 폭이 두드러졌습니다.
하지만 구직급여를 받는 지급자는 63만 8천 명으로 작년 동월 대비 1만 2천 명, 2.0% 증가했습니다. 지급액 또한 1조 329억 원으로 74억 원, 0.7% 늘어났습니다. 이는 실직자들의 구직 활동을 지원하는 금액이 늘어났다는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일자리 시장은 좁아지고, 구직자는 늘어나**
새로운 일자리를 구하거나 이직을 고려하는 분들에게는 주목해야 할 소식입니다. ‘고용24’ 시스템을 통해 집계된 신규 구인 건수는 15만 5천 건으로 작년 같은 달보다 2만 7천 건, 15.0% 감소했습니다. 이는 제조업(-1만 6천 건), 건설업(-3천 건), 도소매업(-2천 건) 등 여러 분야에서 신규 일자리가 줄었기 때문입니다.
반면, 신규 구직 건수는 35만 2천 건으로 1만 4천 건, 4.1% 증가했습니다. 특히 60세 이상 연령층(+9천 명)과 30대(+3천 명)에서 구직 신청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에 따라 구인배수, 즉 구직자 1인당 일자리 수는 0.44로, 작년 동월 대비 하락했습니다. 이는 일자리 경쟁이 다소 치열해질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2025년 8월 노동 시장 동향을 면밀히 파악하여 여러분의 구직 활동이나 경력 관리에 현명하게 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더 많은 이야기
외교부 후원 국제해양법 워크숍, 아프리카 국가 해양법 역량 강화 돕는다
국방부 차관, 해외 4개국과 만나 국방·방산 협력 강화 방안 논의
이재명 대통령, 새 정부 핵심 인선 발표! 나도 혜택 받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