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9월 08일

한국 스마트팜, 캐나다 시장 개척으로 더 큰 혜택을 누리다

이제 한국 스마트팜 기술과 제품으로 캐나다 시장에서도 성공적인 사업 기회를 잡을 수 있다. 농림축산식품부(이하 농식품부)와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이하 KOTRA)는 오는 9월 9일(화)부터 11일(목)까지 캐나다 온타리오주 토론토에서 ‘2025 케이(K)-스마트팜 로드쇼’를 개최한다. 이 로드쇼는 한국 스마트팜 기업의 해외 진출을 확대하고, 현지 바이어들과의 교류를 통해 수출 상담을 진행하는 자리이다.

이번 로드쇼는 특히 캐나다 시장을 겨냥하고 있다. 캐나다는 열악한 기후와 긴 유통 거리로 인한 농산물 생산 및 유통 여건을 극복하기 위해 스마트팜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지역이다. 또한, 향후 미국 시장으로의 확장성까지 고려할 때, 우리 기업들이 진출하기에 충분한 경쟁력을 갖춘 곳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에 농식품부와 KOTRA는 북미 지역 최초로 캐나다에서 스마트팜 로드쇼를 추진하게 되었다.

로드쇼에는 스마트팜 기자재 및 솔루션 분야에서 경쟁력을 갖춘 국내 기업 9개사가 참가하여 자신들의 기술과 제품을 직접 홍보한다. 참가 기업들은 현지 구매업체 10개사와 1:1 수출 상담을 진행하며 실질적인 비즈니스 기회를 모색할 예정이다. 더불어, 캐나다의 대표적인 원예 연구 기관인 Vineland Research & Innovation Centre의 실증단지를 방문하여 현지 원예 산업의 최신 동향과 시장의 수요를 파악하는 귀한 시간도 갖는다.

캐나다 스마트팜 진출 전략 설명회도 열린다. 온타리오주 농업부 차관의 축사를 시작으로, 온타리오주 농업부 관계자가 지역 농업 동향을 발표한다. 또한, 원예 연구 기관과 농업 분야 비영리법인에서는 ‘한-캐나다 농업기술 협력 기회’와 ‘캐나다 스마트팜 기술 개발 현황’에 대한 발표를 통해 현지 스마트 농업 분야의 최신 정보를 상세히 제공한다. 현지 농장의 한국 스마트팜 구축 경험도 소개되어, 캐나다 진출을 모색하는 기업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로드쇼를 통해 성사된 수출 상담이 실제 수주 및 수출 계약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농식품부와 KOTRA는 꾸준히 모니터링하고 적극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을 계획이다. 국내 스마트팜 기업들이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계약을 추진하거나, 최종 계약 전에 현지 실증이 필요한 경우 발생하는 비용에 대한 지원도 이루어진다.

농식품혁신정책관 김정욱은 “캐나다는 이미 글로벌 스마트팜 기업들이 활동하고 있지만, 여전히 우리 기업들이 진출할 수 있는 가능성이 열려있는 시장”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우리 스마트팜 기업들이 뛰어난 혁신성과 현지 적응력을 바탕으로 새로운 시장을 개척할 수 있도록 지원을 더욱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