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복숭아를 해외에서도 신선하게 맛볼 수 있게 된다. 짧은 유통기한 때문에 어려움을 겪었던 복숭아 수출의 걸림돌을 최신 기술로 극복하고, 앞으로는 수확 시기별로 가장 맛있는 품종을 골라 연중 안정적으로 수출하는 체계가 본격적으로 구축된다.
이러한 복숭아 수출 품종 체계 구축 사업은 국내에서 육성된 신품종의 해외 시장 경쟁력을 꾸준히 확인해 온 농촌진흥청의 노력으로 시작되었다. 이미 2021년에는 조생종 품종인 ‘홍백’을 홍콩과 싱가포르에 시범 수출하여 현지 젊은 소비자들의 좋은 반응을 얻은 바 있다. 작년인 2023년에는 조생종 ‘금황’ 품종을 실시간 판매(라이브 커머스) 방식으로 유통 시간을 30시간 이내로 단축하며 수출 가능성을 성공적으로 확인했다. 올해는 특히 싱가포르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중생종 복숭아인 ‘스위트하백’과 ‘참백’의 수출 경쟁력을 평가하는 의미 있는 시간을 가졌다.
농촌진흥청은 ‘홍백’, ‘금황’과 같은 개별 품종에 대한 해외 시장의 선호도를 파악하는 데 그치지 않고, 앞으로 ‘케이(K)-복숭아’의 지속 가능한 수출 기반을 더욱 튼튼하게 다지기 위한 구체적인 계획을 제시할 예정이다. 이 계획에는 조생종부터 만생종까지, 해외에서 특히 선호하는 국내 육성 우수 품종들을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구체적인 이행안(로드맵)이 담겨 있다.
이러한 노력을 뒷받침하기 위해 농촌진흥청은 청도복숭아연구소와 긴밀히 협력하여 혁신적인 기술 지원에 나선다. 바로 이산화염소(ClO2)와 이산화탄소(CO2)를 함께 사용하는 복합 처리 기술과 최신 선도유지제를 적용하는 것이다. 이 복합 처리 기술은 복숭아의 물러짐 현상을 늦추어 신선한 단단함을 유지하도록 돕는다. 또한, 유통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부패를 유발하는 병원균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장거리 운송 중에도 복숭아의 품질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러한 첨단 기술력을 바탕으로 농촌진흥청은 품목을 점차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이미 성공 가능성을 확인한 조생종(‘홍백’, ‘금황’)과 중생종(‘스위트하백’, ‘참백’)에 더해, 앞으로는 만생종 분야에서도 우수한 품종을 적극 발굴하여 복숭아의 제철 기간 내내 해외 시장에 고품질의 ‘케이(K)-복숭아’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총력을 기울일 것이다.
이러한 복숭아 수출 기술 지원을 위해 지난 9월 5일에는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였다. 농촌진흥청 수출농업기술과(기술기반 수출 총괄),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과수기초기반과, 저장유통과, 그리고 경북도원 청도복숭아연구소(품종 및 선도 유지 기술 개발), 수출 현장 전문가들이 참여한 ‘복숭아 수출 기술 지원 협의회’가 열렸다. 이 협의회에서는 품종 선발부터 시작하여 재배 기술, 수확 후 관리, 그리고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문제 해결까지, 전 과정에 걸쳐 유기적으로 협력하며 복숭아 수출 경쟁력 강화를 위한 강력한 의지를 다졌다.
농촌진흥청 기술협력국 수출농업기술과 안욱현 과장은 “지금까지 복숭아 수출은 유통 기간의 제약으로 인해 어렵다는 인식이 지배적이었지만, 이제는 최신 선도유지 기술 덕분에 이러한 한계를 충분히 극복할 수 있게 되었다”라고 강조했다. 또한, “앞으로는 수확 시기별로 최적화된 품종 체계를 구축하고, 농가별 맞춤형 기술 지원을 강화함으로써 안정적인 수출 기반을 마련하겠다”며, “이를 통해 국내 복숭아 농가 소득 증대는 물론, ‘케이(K) 농산물’의 세계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더 많은 이야기
영호남 상생협력, ‘진짜 대한민국’ 만드는 기회, 나도 동참할 수 있다
중국산 훈제오리 AI 유전자 검출! 유통 차단 및 수입 중단으로 안심하세요
동포 지원 혜택, 더 촘촘하고 편리하게 받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