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 분야에서 일하는 여러분, 혹시 직장 내 성희롱이나 성폭력으로 어려움을 겪고 계신가요? 이제 여러분의 어려움을 더 잘 이해하고 전문적으로 도와줄 상담 체계가 강화됩니다. 보건복지부와 고용노동부, 여성가족부가 협력하여 여러분의 피해 상담 콘텐츠를 제공하고, 상담사 교육에 활용함으로써 보다 전문적인 지원이 가능해졌습니다.
이러한 변화로 가장 큰 이점을 얻는 대상은 바로 보건복지 분야 종사자 여러분입니다. 보건복지 분야 종사자는 무려 329만 명으로, 전체 산업 종사자의 11.3%를 차지할 만큼 규모가 큽니다. 특히 이 중 여성의 비율이 81.6%에 달하며, 여성 전체 취업자 중 20.7%가 보건복지 서비스업에 종사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보건복지 분야는 소규모 기관이 많고 근무 환경이 폐쇄적인 경우가 많아, 재활 치료, 방문 돌봄, 재가 요양 등 업무 특성상 성희롱·성폭력 피해를 겪어도 참고 넘어가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이러한 여러분의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정부는 맞춤형 상담 지원에 나선 것입니다.
어떻게 하면 이런 전문적인 상담을 받을 수 있을까요? 이번에 강화된 상담 체계는 기존에 직장 내 성희롱 상담을 제공해 온 고용노동부의 ‘고용평등심층상담서비스’와 여성 폭력 피해자 초기 지원 창구인 여성가족부 ‘여성긴급전화1366’과의 협력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보건복지부는 이들 기관의 상담사들이 보건복지 분야의 특성을 더 잘 이해하고 상담에 임할 수 있도록, 보건복지 분야 종사자들의 피해 상담 콘텐츠를 개발하여 교육에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고용평등심층상담서비스는 직장 내 성희롱, 고용상 성차별 피해 등 권리 구제를 위한 상담과 자문, 그리고 일상 복귀를 위한 지원 프로그램을 제공합니다. 여성긴급전화1366은 성폭력, 스토킹, 가정폭력 등 여성 폭력 피해자에게 긴급한 구조, 보호, 상담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즉, 여러분이 겪는 어려움의 종류에 따라 가장 적합한 도움을 받을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보건복지부는 올해 사회복지 분야의 성희롱·성폭력 예방 교육을 시작으로, 앞으로 보건의료, 장기요양, 사회서비스 등 각 분야별 특성을 반영한 상담사 맞춤형 교육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제공할 계획입니다. 또한, 협력이 가능한 다른 분야도 적극적으로 발굴해 나갈 예정입니다. 보건복지부 정책기획관 임호근 씨는 “보건복지 분야의 특성을 고려한 상담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관련 부처와 지속적으로 협의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러한 상담 지원 체계는 이미 올해부터 보건복지 분야 종사자들의 성희롱·성폭력 상담 교육에 활용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여러분의 안전하고 존중받는 근무 환경을 위해 지속적으로 지원될 예정이니, 어려움이 있다면 주저하지 말고 도움을 요청하시기 바랍니다.
더 많은 이야기
내 집 마련 꿈, 이제 더 가까워진다: 공공임대주택, 더 쉬워진다
추석 장바구니 든든하게! 최대 50% 할인 혜택, 나도 받을 수 있다
교육, 금융, 보상까지… 9월 19일부터 달라지는 생활 혜택 챙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