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한국의 아름다운 국가유산을 첨단 디지털 기술로 생생하게 만날 수 있다. 국가유산청은 지난 9월 6일 오스트리아 린츠에서 열린 세계적인 디지털 문화 축제인 ‘아르스 일렉트로니카 페스티벌’에 참가해, 우리 국가유산의 다채로운 매력을 디지털로 구현한 특별 전시를 선보였다. 이 행사는 9월 3일부터 9월 7일까지 진행되었다.
**오스트리아 린츠에서 펼쳐진 K-헤리티지의 향연**
‘아르스 일렉트로니카 페스티벌’은 1979년부터 시작된 권위 있는 미디어 아트 및 디지털 문화 행사로, 매년 9월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창의적인 예술 표현과 그 의미를 탐구하는 자리다. 올해 행사는 오스트리아 린츠의 ‘아르스 일렉트로니카 센터’에서 열렸는데, 이곳은 ‘미래 박물관’이라 불리며 특히 16m×9m 크기의 대형 몰입형 공간인 ‘딥스페이스(Deep Space)’가 유명하다. 이곳은 벽과 바닥 전체가 화면으로 활용되어 관람객에게 압도적인 몰입감을 선사한다.
국가유산청은 2024년부터 ‘아르스 일렉트로니카 센터’와 국가유산 디지털 데이터 및 기술 교류를 이어왔으며, 이번 페스티벌에서 K-헤리티지의 아름다움을 ‘딥 스페이스’ 공간에 디지털로 구현하여 선보이게 되었다.
**어떤 국가유산들을 디지털로 만날 수 있나?**
이번 전시의 주제는 ‘디지털 기술로 K-헤리티지의 가치를 창조하다’였다. 국가유산청은 이 주제 아래 세 가지 작품을 선보였다.
첫째, ‘자연으로부터’라는 작품은 한국 전통 공예의 섬세한 아름다움을 아나몰픽 기법을 활용해 입체적으로 구현했다. 아나몰픽 기법은 착시 현상을 이용해 예술 작품을 보는 이가 마치 실제처럼 입체감을 느끼게 하는 방식이다. 이 작품은 현재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 뮤지엄 2관에서 열리고 있는 국가유산 디지털 콘텐츠 종합 전시 <헤리티지 : 더 퓨처 판타지>에서도 9월 17일까지 만나볼 수 있다.
둘째, ‘별서정원’은 조선시대 선비들이 가꿨던 전통 정원을 3차원(3D) 디지털 기술로 복원한 작품이다. 이를 통해 관람객은 실제 정원을 거니는 듯한 경험을 할 수 있다.
셋째, ‘경복궁 – 왕의 정원을 거닐다’는 경복궁의 주요 건축물과 아름다운 정원을 디지털 기술로 재창조한 작품이다. 이 작품을 통해 관람객은 공간의 제약을 넘어 마치 실제 경복궁을 산책하는 듯한 생생한 몰입감을 느낄 수 있다.
**미래를 향한 국가유산청의 발걸음**
국가유산청은 전통과 첨단 기술이 결합된 이번 전시가 국내외에 국가유산의 새로운 활용 가능성을 널리 알리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하고 있다. 앞으로도 우리 국가유산을 전 세계에서 더욱 쉽게 만나볼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마련해나갈 계획이다.
더 많은 이야기
KT 통신망 ‘유령기지국’ 해킹 위험, 상세 정보 지금 확인하세요
대형 화재·가뭄 걱정 끝! 소방용수, 이제 국가 시스템으로 막힘없이 받는다
나도 즐길 콘텐츠의 미래, 2025 ACFM에서 엿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