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9월 07일
서울 정책구상 20주년, 아·태 지역 기후변화 대응 위한 새 도약 시작

서울 정책구상 20주년, 아·태 지역 기후변화 대응 위한 새 도약 시작

이제 아시아·태평양 지역 국가들이 기후변화 대응에 더욱 힘을 얻을 수 있게 됐다. 2005년부터 20년간 지속가능발전 사업을 이끌어온 ‘서울 정책구상(SI)’이 20주년을 맞아 새로운 5단계 사업계획을 공개하며 역내 기후 정책 공유와 기후위기 대응력 제고에 나선다.

이번 ‘서울 정책구상’ 20주년 정책토론회는 태국 방콕 유엔 컨퍼런스 센터에서 9월 8일부터 9일까지 열렸다. 환경부와 유엔 아시아·태평양경제사회위원회(UN ESCAP)가 공동 개최한 이번 행사는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3.0 이행 가속화: 아·태지역의 기후회복력 있는 발전’을 주제로 진행됐다. 이는 파리협정 채택 10주년을 앞두고 아·태 지역의 기후변화 대응 노력을 한층 강화하기 위함이다.

이번 토론회에는 아·태 지역 29개국에서 90여 명의 대표가 참석했다. 박용민 주태국 한국 대사, 아르미다 알리샤바나 유엔 아시아·태평양경제사회위원회(UN ESCAP) 사무총장, 장클로드 푸앵보프 주태국 프랑스 대사, 피룬 싸이야싯따파닛 태국 기후변화 및 환경부 국장 등이 개회 연설을 맡아 이번 행사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토론회에서는 먼저 아·태 지역의 파리협정 이행 현황을 면밀히 점검했다. 이와 함께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3.0과 파리협정 1.5℃ 목표 달성을 위한 국가별 실행 방안을 공유했다. 우리나라는 온실가스 감축과 기후 적응을 통합한 국가기후변화적응대책을 소개했으며, 자연 기반 해법을 활용한 기후 회복력 강화 방안을 논의하는 등 통합적인 접근 방식을 모색했다.

특히 이번 행사에서는 ‘서울 정책구상’ 발족 20주년을 기념하여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추진될 5단계 사업계획(안)이 공개되었다. 이 계획은 ‘탄소중립 및 녹색성장 기반 확립’을 목표로, 아·태 지역 국가들의 기후 위기 대응 역량을 체계적으로 지원할 예정이다. 기후 의제를 주요 국제회의 등 국내외 기후 행사와 연계하고, 회원국의 다양한 기후 분야 수요에 맞춰 시범 사업을 확대 운영할 계획이다.

5단계 사업계획에서는 기존의 역량 강화 중심 사업을 넘어, 다양한 관계 전문가가 참여하여 현지 난제를 분석하고 맞춤형 해결책을 도출하는 ‘진단 사업’으로 전환될 예정이다. 이렇게 도출된 해결 방안은 환경부의 해외 진출 지원 기본 계획 수립, 타당성 조사, 탄소중립 및 녹색 공적개발원조(ODA) 등과 연계하여 구체화될 계획이다. 2026년 정부안으로는 프로젝트 공적개발원조(280억 원) 등이 제시되었다. 이러한 사업 과정에는 국내 기관뿐만 아니라 유엔환경계획(UNEP) 등 국제기구와 세계은행(WB), 아시아개발은행(ADB) 등 다자개발은행도 참여할 수 있어 ‘서울 정책구상’의 파급력이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서울 정책구상’은 지난 20년간 우리나라의 지속 가능한 발전 경험을 바탕으로 약 101억 원을 지원하며 정책 자문, 지식 공유, 역량 강화에 기여해왔다. 그간 19회의 정책 토론회와 21개국 53개의 시범 사업을 추진했으며, 올해에도 필리핀의 ‘지방정부 온실가스 감축 역량 향상 사업’과 피지의 ‘폐기물 에너지화 시스템 역량 강화 사업’ 등이 진행 중이다.

정은해 환경부 국제협력관은 “‘서울 정책구상’은 지난 20년간 아·태 지역 지속가능발전을 견인해 온 환경 협력의 구심점”이라며, “5단계 사업계획에서는 국가 맞춤형 진단과 후속 사업을 연계하는 녹색 가교 역할을 적극 수행하여, 아·태 지역의 실질적인 기후 대응과 녹색 전환 성과를 창출하겠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