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쓰레기를 버릴 때 지역마다 달랐던 분리배출 방법을 더 이상 어렵게 찾을 필요가 없어졌다. 환경부가 ‘제17회 자원순환의 날’을 맞아 ‘생활폐기물 분리배출 누리집’을 새롭게 개설했기 때문이다. 이 누리집을 이용하면 집 근처의 정확한 배출 장소는 물론, 품목별 올바른 분리배출 방법까지 한 번에 알아볼 수 있다.
이 ‘생활폐기물 분리배출 누리집’은 무색페트병, 텀블러, 그물 무늬 스티로폼 용기 등 우리가 일상에서 흔히 마주치는 730가지 품목에 대한 분리배출 방법을 쉽고 상세하게 안내한다. 단순히 버리는 방법뿐만 아니라, 분리배출된 재활용품이 어떻게 수거되고 처리되는지 그 전 과정까지 보여준다. 가장 큰 특징은 이용자의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우리 동네(시군구)별 배출 방법과 재활용품 수거함, 의류수거함 등이 어디에 있는지 통합적으로 알려준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보조배터리를 어떻게 버려야 할지 궁금하다면 누리집에서 검색만 하면 ‘전지수거함에 배출해 달라’는 안내와 함께 가장 가까운 전지수거함의 위치를 지도에서 바로 확인할 수 있다.
이 누리집을 이용하는 방법은 매우 간단하다. 인터넷 주소창에 ‘wasteguide.or.kr’을 직접 입력하거나, 인터넷 검색창에서 ‘생활폐기물 분리배출 누리집’을 검색하면 첫 화면을 볼 수 있다. 또한, 분리배출과 관련해 평소 궁금했던 점들을 질의응답(Q&A) 형식으로 구성해 놓아 궁금증을 쉽게 해소할 수 있도록 돕는다.
환경부는 모든 이용자가 편리하게 이 누리집을 이용할 수 있도록 최신 기술을 적용했다. 컴퓨터, 스마트폰, 노트북 등 어떤 기기에서 접속하든 화면 크기가 자동으로 조절되는 반응형 웹으로 개발되었으며, 시각장애인도 불편함 없이 이용할 수 있도록 웹 접근성 기술을 도입했다. 글씨에 손을 대면 소리가 들리도록 개발하는 등 세심한 배려를 담았다.
김고응 환경부 자원순환국장은 “분리배출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더욱 쉽고 상세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이 전용 누리집을 개발했다”며, “앞으로도 올바른 분리배출 문화가 정착될 수 있도록 유용한 정보를 계속해서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환경부는 앞으로도 시군구 및 품목별 배출 방법을 지속적으로 보완하고, 국민들이 요청하는 검색 품목과 배출 장소 정보를 추가하며, 기능 개선을 통해 편의성을 더욱 높여나갈 계획이다.
더 많은 이야기
K-바이오 의약품, 2030년까지 수출 2배 늘린다! 나도 혜택 받을 수 있다
APEC 스타트업 얼라이언스 출범! 이제 우리 스타트업도 세계로 뻗어나간다
APEC 중소기업 장관회의, 국내 중소기업·스타트업 글로벌 협력 기회 넓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