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년 국가유산청 예산이 1조 4,624억 원으로 편성되었다. 이번 예산은 새 정부의 지출 효율화 기조에 맞춰 재정 혁신을 단행하고, 적극 행정을 위한 세계유산 보존 관리 지원 사업 등 1,065억 원의 지출 구조조정을 통해 마련된 재원으로 국민 삶과 조화로운 국가유산 보호 및 활용 정책에 집중 투입될 예정이다. 이를 통해 K-컬처의 뿌리인 국가유산의 세계화를 이루어 ‘빅 5 문화강국’ 실현을 목표로 하고 있다.
국가유산청의 2026년 예산 규모는 1조 4,624억 원으로, 2025년 예산 1조 3,874억 원 대비 750억 원(5.4%) 증액되었다. 이는 어려운 재정 여건 속에서도 국가유산청의 중요 사업과 신규 사업 예산을 안정적으로 확보하려는 정부의 미래지향적 의지를 보여준다. K-콘텐츠를 세계적인 브랜드로 발전시켜 향후 K-컬처 시장 규모 300조 원 시대를 열겠다는 계획이 반영된 결과다.
분야별 예산 배분은 ▲국가유산 보수정비·보존기반 구축 5,560억 원, ▲국가유산 정책 2,537억 원, ▲문화유산 987억 원, ▲자연 및 무형유산 886억 원, ▲세계유산 782억 원, ▲교육·연구·전시 1,038억 원, ▲궁능원 관리 1,285억 원 등이다.
주요 증액 사업으로는 국가유산 보수정비·보존기반 구축에 260억 원이 늘어나 총 5,560억 원이 투입된다. 또한, 국립무형유산원 분원 건립에 119억 원, 전수교육관 건립 지원에 87억 원, 역사문화권 정비·진흥 사업에 63억 원, 궁중문화축전·조선왕릉축전 사업에 39억 원, 국가유산 긴급보수 사업에 63억 원, 국가유산 경관 개선 지원사업에 50억 원이 각각 증액되었다.
내년 새롭게 추진되는 주요 사업으로는 제48차 세계유산위원회 개최(178억 원), 국가유산 지능형 첨단보존 기술개발(R&D)(44억 원), 국가유산 안내판 정비(58억 원), 경복궁 내 국가유산 대표상품관 조성(8억 원), 백악산 한양도성 탐방로 운영(21억 원), 한국 전통조경 해외 보급(20억 원), 규장각 기록유산 콘텐츠 활용 및 보급(18억 원) 등이 있다. 특히, 제48차 세계유산위원회는 2026년 7월 12일부터 29일까지 부산에서 열리며, 196개국 정부, 국제기구, NGO 등 약 3천여 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2026년 국가유산청은 ‘문화강국의 든든한 뿌리, 국가유산의 가치 확산’을 목표로 세 가지 중점 투자 분야를 설정했다. 첫째, 국가유산 보호기반 강화 및 역사문화권 정비 등 국정과제를 추진한다. 미래 기후위기 및 재난 대비 국가유산 안전관리 강화, 분야별 보존·활용기반 확충, 국민의 삶과 조화로운 국가유산 보호·활용에 예산이 집중된다.
둘째, K-컬처의 뿌리인 국가유산을 세계화하여 ‘빅 5 문화강국’을 실현한다. 국제사회 내 선도적 역할 수행, K-헤리티지 가치 확산을 통한 국가 브랜드 가치 제고, 세계가 공감하는 글로벌 국가유산 콘텐츠 보급 확산 등에 예산을 확대 반영한다. 경복궁 내 국가유산 대표상품관 조성 사업은 한국 전통문화 상품의 글로벌 수요 증가에 발맞춰 추진되며, 총 사업비 168억 원 중 2026년에 설계비 8억 원이 투입된다.
셋째, K-헤리티지 관광 활성화를 통해 지역 발전을 촉진한다. 각 지역별 특색 있는 국가유산을 관광자원으로 육성하고, 국가유산 방문 캠페인(2026년 방문 코스 13개, 100개 거점 운영, 방문자 여권 70만 부 예상) 등을 통해 관광객 유치에 힘쓸 예정이다. 또한, 국가유산의 교육 및 활용을 통한 지역 공동체 활성화 사업도 지원한다.
국가유산청은 과거의 유산이자 미래의 자원인 국가유산의 가치를 새롭게 재창조하여 세계 속에 K-헤리티지의 가치를 널리 알리는 데 최선을 다할 계획이다.
더 많은 이야기
‘AI, 나의 거울’ 출간, AI와의 대화로 ‘나’를 더 깊이 이해하는 새로운 통로가 열립니다.
K-바이오 의약품, 2030년까지 수출 2배 늘린다! 나도 혜택 받을 수 있다
APEC 스타트업 얼라이언스 출범! 이제 우리 스타트업도 세계로 뻗어나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