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로 인해 예측 불가능한 극한 호우가 잦아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산지에서 발생하는 홍수와 산사태와 같은 재난에 대한 불안감을 느끼는 분들이 많으실 텐데요. 이제 이러한 산지 재난에 더욱 효과적으로 대비하고 시민들의 안전을 강화하기 위한 중요한 사업이 추진됩니다. 바로 ‘산림유량관측망’ 구축 사업입니다. 이 사업을 통해 우리는 앞으로 더욱 정확한 산지 재난 예측과 신속한 대응으로 더욱 안전한 환경에서 생활할 수 있게 됩니다.
그렇다면 산림유량관측망은 구체적으로 어떤 역할을 하며, 우리에게 어떤 혜택을 주는 것일까요? 이 시스템은 산지에서 흐르는 물의 양 변화를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첨단 관측망입니다.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발생하는 홍수, 가뭄, 그리고 산사태와 같은 물과 관련된 산지 재난의 발생 특성을 분석하고 미리 예측하는 기능을 수행합니다.
이 사업은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에서 주도하며, 2031년까지 총 8년간 전국 400곳에 이르는 넓은 지역에 산림유량관측망을 설치할 계획입니다. 이는 단순히 시설을 설치하는 것을 넘어, 한국 실정에 맞는 실시간 정밀 유량 관측을 가능하게 하여 산지 재난 대응의 정확도를 획기적으로 높이는 기반이 될 것입니다.
특히, 최근 국립산림과학원 생활권도시숲연구센터 연구진은 우리나라 산림 지역에 최적화된 ‘홍수도달시간 산정식’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홍수도달시간이란 가장 많은 비가 내리기 시작해서 산지의 물 수위가 가장 높아지기까지 걸리는 시간을 의미합니다. 이 시간이 짧을수록 재난 발생 시 더욱 취약해지는데, 이번에 개발된 산정식은 이러한 산지 홍수 예측의 정확도를 더욱 높여줄 것으로 기대됩니다. 산지에서 실시간으로 유량 변화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은 해당 지역의 산지 재난 발생 위험성을 면밀히 분석하고 예측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합니다.
이번에 새롭게 추진되는 산림유량관측망 구축 사업을 통해 얻어지는 귀중한 연구 결과는 이미 세계적으로 인정받았습니다. 산림 과학 분야의 저명한 국제 학술지인 「Forests」에 2024년에 게재되어 학술적 가치를 입증받았습니다.
국립산림과학원 생활권도시숲연구센터의 박찬열 센터장은 “산림유량관측망 구축을 통해 앞으로 산지에서 발생하는 재난 상황을 더욱 정밀하게 관측하고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산지에서 흐르는 유량을 체계적으로 모니터링하여 국민 안전을 지키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러한 노력 덕분에 우리는 앞으로 기후변화로 인한 산지 재난으로부터 더욱 안전한 생활을 영위할 수 있을 것입니다.
더 많은 이야기
K-바이오 의약품, 2030년까지 수출 2배 늘린다! 나도 혜택 받을 수 있다
APEC 스타트업 얼라이언스 출범! 이제 우리 스타트업도 세계로 뻗어나간다
APEC 중소기업 장관회의, 국내 중소기업·스타트업 글로벌 협력 기회 넓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