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년, 환경 분야에 총 15조 9160억 원의 예산이 투입될 예정이다. 이는 올해 대비 7.5% 증가한 규모로, 특히 환경 기술 개발 예산은 19.8% 증액되어 사상 최대 규모인 4180억 원이 편성되었다. 이러한 예산 증액은 국민들이 직접 체감할 수 있는 변화를 이끌어낼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예산은 크게 세 가지 방향으로 집중 투자된다. 첫째, ‘국민이 혜택을 누리는 탈탄소 정책’을 위해 5.5조 원이 투입된다. 구체적으로 전기차 및 수소차 전환 가속화를 위해 3765억 원, 탈탄소 산업 전환을 위해 8355억 원, 재생에너지 활성화를 위해 448억 원, 그리고 탄소중립 녹색생활 실천을 위해 338억 원이 배정되었다. 이는 우리 생활 속에서 전기차를 더 쉽게 만나고, 친환경적인 산업 활동을 지원하며, 깨끗한 에너지를 사용하는 습관을 더욱 장려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둘째, ‘국민이 체감하는 사회안전망 신속 조성’을 위해 5.8조 원이 투입된다. 이는 기후 재난에 대비한 기반을 확충하는 데 8208억 원, 생활 속 안전을 높이는 데 9320억 원, 그리고 4대강 재자연화와 먹는 물 안정성을 강화하는 데 2473억 원이 사용된다. 예측 불가능한 기후 변화로 인한 재난으로부터 우리를 보호하고, 더욱 안전한 생활 환경을 만드는 데 집중 투자되는 것이다. 또한, 깨끗하고 안전한 물을 마실 수 있도록 하천 환경 개선에도 힘쓴다.
셋째, ‘사람, 자연, 지역이 함께하는 공존사회’를 위해 4.0조 원이 투입된다. 여기에는 환경 민간 계층 지원에 100억 원, 국가 균형 성장을 위한 사업에 2조 4222억 원, 그리고 자연과의 공존을 위한 사업에 573억 원이 배정되었다. 이는 환경 보호 활동을 하는 다양한 계층을 지원하고, 지역 경제 활성화를 통해 전국 곳곳이 골고루 발전하며, 사람과 자연이 조화롭게 살아가는 환경을 만드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환경부 관계자는 “탈탄소 녹색문명으로의 전환, 기후위기 시대에 대비한 안전 인프라 확충, 그리고 사람과 환경의 공존을 바탕으로 지속가능한 미래를 뒷받침할 수 있도록 예산안을 편성했다”고 밝히며, “편성된 예산안이 국민 삶 속에서 실질적인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더 많은 이야기
‘AI, 나의 거울’ 출간, AI와의 대화로 ‘나’를 더 깊이 이해하는 새로운 통로가 열립니다.
K-바이오 의약품, 2030년까지 수출 2배 늘린다! 나도 혜택 받을 수 있다
APEC 스타트업 얼라이언스 출범! 이제 우리 스타트업도 세계로 뻗어나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