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년부터 해양경찰청의 예산이 크게 늘어나 시민들의 해양 안전이 더욱 강화될 전망이다. 총 2조 1325억 원 규모의 예산안은 해양 주권 수호, 국민 생명 보호를 위한 구조 및 안전 강화, 범죄 대응 능력 향상, 해양 환경 보존, 그리고 조직 역량 강화 등 다방면에 걸쳐 시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이번 예산 증액은 노후 장비 교체와 첨단 기술 도입에 집중되어, 국민들이 해양 관련 서비스에서 더욱 안전하고 신속한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가장 주목할 부분은 해양 주권 수호 및 구조 안전 분야다. 해양 주권 수호를 위해 노후 경비함정 및 단속 장비 교체에 5064억 원이 투입된다. 여기에는 노후화된 3000톤급 경비함정 1척 교체를 위한 3.5억 원(1/6년차)과 노후 단속 장비 교체를 위한 11억 원(신규)이 포함된다. 또한, 경비함정 계획정비비도 422억 원에서 480억 원으로 증액되어 해상 활동의 안정성이 높아진다. 국민의 생명과 직결된 구조 및 안전 분야에서는 1475억 원이 투입되어 구조 장비 확충과 민간 구조 단체 지원이 확대된다. 여기에는 노후 카모프 헬기 교체를 위한 45억 원(1/4년차)과 연안 안전 관리를 위한 드론 도입에 3.7억 원(신규)이 편성되었다. 또한, 해양 재난 구조대의 구조 장비 지원이 19억 원에서 57억 원으로 대폭 확대되어 재난 발생 시 더욱 신속하고 효과적인 대응이 가능해질 것이다.
더불어, 시민들의 안전한 해양 활동을 위해 수사 역량 강화와 해양 환경 보존에도 예산이 증액된다. 국경 범죄 및 사이버 범죄 대응 장비 확충 등에 236억 원이 배정되며, 특히 마약 범죄 대응 장비 확충에 16억 원, 형사사법정보시스템 인프라 확충에 16억 원이 각각 투입된다. 밀입국, 밀항 등 국경 범죄 대응 훈련에도 0.5억 원(신규)이 지원된다. 해양 환경 보존을 위해서는 292억 원이 투입되어 방제 지원 센터의 방제 자재 확보에 6억 원, 해양 화학 사고 대비 내알콜포 확보에 3.4억 원이 사용된다. 해양 오염을 유발하는 장기 방치 선박에 대한 조사도 1.4억 원(신규)으로 시작된다.
이 외에도 조직 역량 강화를 위한 R&D 및 정보화 등 첨단 기술 개발에 2403억 원이 투자된다. AI 기반 해상 긴급 상황 및 대응 체계 개발에 10억 원(신규), 해양 재난 사고 데이터 분석 활용 체계 개발에 48억 원(신규), 가상 융합 기반 실감형 교육 훈련 체계 구축에 79억 원(신규)이 편성되어 해양경찰의 전반적인 업무 효율성과 대응 능력이 향상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예산 증액은 2025년 9월 3일에 발표되었으며, 2026년부터 본격적으로 사업이 추진될 예정이다.
더 많은 이야기
대통령과 만난 어린이들의 생생한 목소리, 우리 아이들도 대통령에게 직접 이야기할 수 있다!
몽골과 관계 더욱 깊어진다… 35년간 발전 협력, 새 시대 동반자 관계 시작
K-제조업 재도약 전략으로 AI 대전환 시대, 시민의 ‘AI 활용 능력’ 키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