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년, 남북 간 교류 및 협력 활성화를 위한 통일부 예산이 대폭 늘어난다. 특히 남북협력기금이 1조 원 수준으로 회복될 예정이어서, 국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다양한 혜택이 기대된다. 이제 남북 관계 개선을 위한 실질적인 사업들이 더욱 활발하게 추진될 전망이다.
늘어나는 예산은 크게 세 가지 분야에 집중된다. 첫째, 인도적 문제 해결을 위한 구호 지원에 6,810억 원이 편성된다. 이는 전체 남북협력기금의 68%에 해당하는 규모로, 북한 주민들의 삶의 질 개선에 직접적으로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남북 경제협력 분야에 3,037억 원이 배정되어, 평화 경제와 공동 성장을 위한 기반을 다진다. 경제협력 사업에는 1,789억 원이 투입되며, 경제교류 협력 보험과 대출 지원 규모도 각각 37억 원, 73억 원으로 늘어난다. 셋째, 남북 사회·문화 교류를 위해 104억 원이 사용되어, 국민들의 이해와 참여를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일반회계 역시 2,353억 원으로 증액되어, 국민들의 통일 공감대 확산을 위한 사업들이 강화된다.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북한이탈주민 정착 지원에 807억 원을 투입하는 것이다. 이는 전체 일반회계의 47.5%에 달하는 금액으로,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는 북한이탈주민들을 위한 실질적인 지원이 확대된다. 또한, 북한 정세 분석에 264억 원, 통일 교육에 160억 원, 통일 정책 수립 및 이산가족, 북한인권 문제 해결을 위한 사업에도 예산이 배정된다.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세대와 계층별 국민 의견 수렴을 위한 예산이 153억 원으로 확대되었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통일 관련 민간 단체의 활동 지원, 사회적 대화 활성화, 평화·통일 문화 체험 프로그램 운영, 그리고 통일 미래 연구 기반 구축 등 국민 참여를 확대하고 통일에 대한 긍정적인 담론을 확산하는 데 힘쓸 예정이다.
2026년 통일부 예산안은 남북 관계 개선과 평화 공존 기반 구축이라는 목표 아래, 국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실질적인 혜택과 참여 기회를 확대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구체적인 사업 내용과 지원 대상, 신청 방법 등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추후 발표될 예정이다.
더 많은 이야기
미국 조지아주 우리 기업 단속, ‘3백여 명’ 국민 보호 총력 대응
대구경북 통합신공항 이전, 정부의 성공 추진 당부로 사업 속도 낸다
청년 예술가 지원 확대, 창작 활동에 날개 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