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앞선 산림 정책과 산림 재난 현장 대응 역량이 콩고민주공화국에 전수된다. 이를 통해 콩고민주공화국은 산림 황폐화 방지 및 기후변화 대응 능력을 한층 강화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이번 연수는 콩고민주공화국의 산림 정책 수립 및 집행을 담당하는 환경지속가능개발부 토이람베 바모닌가 벤자민 차관을 포함한 총 12명의 대표단을 대상으로 지난 8월 25일부터 9월 4일까지 약 2주간 진행됐다. 이 연수는 유엔개발계획(UNDP)과 한국국제협력단(KOICA)이 협력 중인 콩고민주공화국 오트우엘레주 산림 전용 및 황폐화 방지를 통한 통합적 기후변화 대응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됐다. 특히 아시아산림협력기구-유엔개발계획(AFoCO?UNDP) 간 초청연수 이행을 위한 협약(LoA)에 따라 이루어졌다.
대표단은 한국전쟁 이후 황폐해졌던 국토를 국가적 노력으로 녹화한 한국의 성공적인 사례와 산불 등 산림 재난에 대한 체계적인 대응 시스템에 대한 설명을 들었다. 또한,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NDC) 달성을 위한 국외 산림 탄소 축적 증진 사업(REDD+) 추진 현황을 공유받고, 국제적인 산림 협력 방안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를 진행했다.
특히, 산림청 중앙산림재난상황실을 방문한 대표단은 24시간 실시간으로 산불, 산사태, 산림 병해충 등 다양한 산림 재난을 통합 관리하는 시스템을 직접 확인했다. 산불 상황 관제를 위한 최신 시스템과 산불 진화 헬기 운용 영상 등을 통해 한국의 첨단 산림 재난 대응 역량을 실감했다.
연수 기간 동안 대표단은 아시아산림협력기구(AFoCO) 사무국, 국립산림과학원, 국립수목원, 중부지방산림청 등 국내 주요 산림 관련 기관들을 방문했다. 국립산림과학원에서는 산불 확산 예측에 활용되는 산불확산예측시스템을, 중부지방산림청에서는 고성능 진화차를 이용한 산불 진화 시연과 공중 및 지상 진화 연계 전술, 정보통신기술(ICT) 기반 산불 현장 통합 지휘본부 운영 등을 견학하며 실제와 같은 진화 과정을 참관했다. 더불어 열화상 카메라를 활용한 산불 감시 및 산불 피해지 측량 등 스마트 임업 기술도 소개받았다.
토이람베 바모닌가 벤자민 차관은 한국의 산림청 중앙산림재난상황실에서 본 인공지능(AI) 기반 정보통신기술(ICT) 플랫폼을 활용한 첨단 감시 체계와 즉각적인 지휘 체계에 깊은 인상을 받았다고 밝혔다. 그는 콩고민주공화국이 건기에 산불 위험에 노출되는 경우가 많은데, 한국의 경험이 자국의 산림 재난 역량을 강화하는 데 매우 귀중한 참고 사례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미라 산림청 차장은 기후 위기로 인해 산불 등 산림 재난의 심각성이 날로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국제 협력은 필수적임을 강조했다. 그는 콩고민주공화국을 포함한 국제사회와의 산림 정책 협력을 더욱 강화하여 기후변화에 공동으로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더 많은 이야기
2025 양성평등주간 맞아 정부, 실질적 양성평등 위한 정책 대폭 강화
해외 협력 늘리고 R&D 지원 확대, 중소기업 혁신 성장 길 열린다
제주에서 열리는 ‘2025 기후테크 스타트업 서밋’, 나도 참여할 수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