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복 80주년을 기념하며 일제강점기에 이루어진 한국의 주요 유적 발굴 조사가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 새롭게 조명하는 학술대회가 개최된다. 국가유산청 국립문화유산연구원은 오는 9월 11일 오전 10시에 국립고궁박물관 본관 대강당에서 ‘일제강점기 한국 주요유적 발굴조사’를 주제로 이 학술대회를 연다.
이 행사는 우리 고고학 연구에 일제강점기 발굴 조사가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 대한민국 고고학의 관점에서 깊이 있게 탐색하는 자리이다. 더 나아가, 한국 고고학이 앞으로 나아가야 할 주체적인 연구 방향과 학문적 발전 가능성을 함께 논의하고자 마련되었다.
학술대회는 총 5개의 주제 발표와 2개의 재발굴 사례 발표, 그리고 종합 토론으로 구성된다. 먼저 최병현 숭실대학교 명예교수의 기조강연 ‘일제강점기 한국 유적의 발굴조사와 과제의 극복’으로 시작된다. 이어 일제강점기 동안 진행된 ▲ 석기시대 유적 조사(이기성, 한국전통문화대학교) ▲ 고구려·낙랑 유적의 고고학 조사(강현숙, 전 동국대학교) ▲ 백제·마한 유적 고고학 조사(이정호, 동신대학교) ▲ 신라·가야 유적 고고학 조사(차순철, (재)서라벌문화유산연구원)에 대한 발표가 이어진다.
또한, 일제강점기에 조사되었던 유적 중 현재 재발굴 조사가 활발히 진행 중인 ‘고령 지산동 5호분'(정인태, 국립경주문화유산연구소)과 ‘부여 왕릉원'(오동선, 순천대학교)에 대한 조사 성과도 발표될 예정이다.
주제 발표 후에는 박순발 충남대학교 명예교수가 좌장을 맡아, 한창균(전 연세대학교), 정인성(영남대학교), 성정용(충북대학교) 등 각 분야 전문가들과 함께 과거 발굴 조사를 평가하고, 이에 대한 학계의 대응과 미래 연구 방향에 대해 심도 있는 종합 토론을 진행한다.
이번 학술대회는 별도의 신청 절차 없이 행사 당일 누구나 현장에서 참여할 수 있다. 국가유산청 국립문화유산연구원은 앞으로도 지속 가능한 국가유산의 미래를 위한 전략 수립에 힘쓰고, 학계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학술적 성과를 국민들과 적극적으로 공유해 나갈 계획이다.
더 많은 이야기
고궁에서 즐기는 특별한 음악회: 나도 혜택 받을 수 있다!
‘프랑켄슈타인’ 실황 영화 혜택, 9월 9일 직접 확인하세요
어은동 안녕축제 참가로 나눔과 재미, 두 마리 토끼를 잡는 ‘여기서 나눠요 바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