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생회복 소비쿠폰 2차 지급 시기가 다가오면서, 이를 사칭한 스미싱 문자가 기승을 부리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이번에 발송되는 쿠폰과 관련하여 불법 도박 사이트 등으로 유도하는 악성 스팸 문자가 기승을 부릴 것으로 예상됩니다. 출처가 불분명한 문자에 포함된 인터넷 주소(URL)를 클릭하는 순간, 개인정보와 금융 정보가 탈취될 위험이 있습니다.
이러한 악성 스팸 문자의 주요 수법은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을 미끼로 삼아, 이용자가 무심코 포함된 인터넷 주소를 클릭하도록 유도하는 것입니다. 만약 의심스러운 인터넷 주소를 눌러 정부 기관 등을 위장한 가짜 웹사이트에 접속하게 된다면, 개인 정보 및 금융 정보를 노리는 악성 프로그램이나 앱이 설치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본인의 의사와 상관없이 돈이 송금되거나 휴대폰이 원격으로 제어되는 등 2차 피해로 이어질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이에 방송통신위원회는 출처가 불분명한 문자에 포함된 인터넷 주소(URL)는 절대 누르지 말고, 문자를 발송한 발신자에게 전화를 걸지 않도록 이용자들에게 강력히 당부하고 있습니다. 혹시라도 의심스러운 문자를 받았다면, 즉시 발신하거나 삭제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방송통신위원회는 이러한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칭 불법 스팸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 이동통신 3사 및 카카오와 긴밀히 협력하고 있습니다. 이용자들에게 주의 문자를 순차적으로 발송하는 한편, 통신사와 삼성전자와 같은 단말기 제조사에는 지능형 스팸 차단 기능, 즉 필터링 기능을 더욱 강화해 줄 것을 요청했습니다.
만약 자신도 모르게 의심스러운 문자를 받았다면, 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몇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카카오톡에서 ‘보호나라’ 채널을 실행시킨 후, 해당 문자를 복사하여 붙여넣기 하면 정상적인 문자인지 여부를 미리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불법 스팸 문자를 수신했을 경우, 해당 문자나 관련 이메일을 ‘불법스팸 간편신고 앱’ 또는 ‘휴대전화 간편신고’ 기능을 통해 한국인터넷진흥원에 적극적으로 신고할 수 있습니다.
방송통신위원회와 한국인터넷진흥원은 이용자들이 신고한 스팸 문자에 대해 불법 여부를 면밀히 확인합니다. 또한, 확인된 불법 스팸 정보는 통신사업자 및 삼성전자 등 단말기 제조사와 협력하여 즉시 차단 조치를 취합니다. 이렇게 수집된 데이터는 경찰청, 금융위원회 등 유관기관과 공유되어 금융 사기를 목적으로 하는 문자(피싱, 스미싱)와 같은 이용자 피해가 더 이상 확산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더 많은 이야기
2025 양성평등주간 맞아 정부, 실질적 양성평등 위한 정책 대폭 강화
해외 협력 늘리고 R&D 지원 확대, 중소기업 혁신 성장 길 열린다
제주에서 열리는 ‘2025 기후테크 스타트업 서밋’, 나도 참여할 수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