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몽골과의 관계가 더욱 굳건해진다. 이재명 대통령이 취임 후 첫 통화로 후렐수흐 몽골 대통령과 만나 양국 간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한층 발전시키기로 합의했기 때문이다. 이는 1990년 수교 이래 35년간 꾸준히 쌓아온 협력의 결과이자, 미래를 향한 새로운 시작을 알리는 중요한 계기다.
이번 통화에서 이재명 대통령은 몽골 대통령의 취임 축전에 대한 감사 인사를 전하며, 양국 간 협력이 다양한 분야에서 크게 발전해왔음을 높이 평가했다. 특히, 풍부한 광물 자원을 가진 몽골과 선진 기술을 보유한 우리나라가 서로에게 이익이 되는 협력을 확대해 나갈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는 단순히 자원 교류를 넘어, 상호 호혜적인 발전을 이루어낼 수 있는 기회를 모색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또한, 이번 만남에서는 몽골에서 독립운동에 헌신했던 이태준 선생의 기념관 개관을 환영하는 뜻을 밝히며, 몽골 측의 협조에 대한 감사도 표했다. 이는 과거의 역사적 연결고리가 현재와 미래의 협력을 더욱 의미 있게 만들고 있음을 보여준다.
양 정상은 양국 국민 간의 활발한 인적 교류가 한-몽 관계를 튼튼하게 지탱하는 기반이 된다는 데 공감대를 형성하며, 앞으로 인적 교류를 더욱 활성화하기로 약속했다. 이는 문화, 교육, 관광 등 다양한 분야에서 국민들 간의 이해와 교류를 증진시켜 양국 관계를 더욱 풍요롭게 만들 것으로 기대된다.
후렐수흐 몽골 대통령은 우리나라에 거주하는 몽골 국민을 포함한 이주 노동자들에게 이재명 대통령이 깊은 관심과 지원을 보여준 것에 대해 감사의 뜻을 전하기도 했다. 이러한 상호 존중과 배려는 양국 관계 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결론적으로, 양 정상은 긴밀한 소통을 바탕으로 한-몽 관계의 새로운 35년을 함께 열어가기로 다짐했다. 이는 앞으로 양국이 더욱 긴밀하게 협력하며 공동의 번영을 추구해 나갈 것임을 시사한다. 이번 통화는 2025년 9월 4일에 이루어졌으며, 대통령실 대변인 강유정이 관련 내용을 서면으로 브리핑했다.
더 많은 이야기
대통령과 만난 어린이들의 생생한 목소리, 우리 아이들도 대통령에게 직접 이야기할 수 있다!
K-제조업 재도약 전략으로 AI 대전환 시대, 시민의 ‘AI 활용 능력’ 키운다
해양경찰, 해양 주권 지키는 새 경비체계 만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