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가 2025년 9월 4일, 육군 제36사단을 방문하여 ’50만 드론전사 양성’이라는 야심찬 계획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 사업을 통해 현역 장병들은 군 복무 기간 동안 드론 조종 자격과 실무 경험을 쌓을 수 있으며, 전역 후에는 드론 분야의 전문가로 민간 산업 현장에서 활약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된다.
이 사업의 핵심은 두 가지다. 첫째, 모든 장병이 군 생활 중 드론 관련 역량을 키워 군 전투력 강화에 기여하고, 사회에서는 드론 전문가로 성장하도록 지원하는 것이다. 둘째, 핵심 부품이 국산화된 교육용 상용 드론을 군에서 직접 사용하여 국내 드론 산업 발전에 기여하고, 군은 안정적으로 드론 장비를 공급받는 상생 전략을 추진한다.
국방부는 이 목표 달성을 위해 관계 부처 및 국내 산업계와 긴밀히 협력하고 있다. 2026년도 정부 예산안에 약 205억원을 편성하여 사업 추진에 필요한 재원을 확보했으며, 장병들의 드론 교육을 위한 환경 조성에도 힘쓰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지원이 이루어진다. 첫째, 모터, 배터리 등 핵심 부품이 국산화된 교육 훈련용 소형 상용 드론을 대량으로 확보하여 군 내 다양한 실증 및 활용성을 높일 예정이다. 둘째, 장병들이 쉽게 비행 기술을 익힐 수 있도록 주둔지 내 교육장을 설치하는 등 인프라를 보강하고, 드론 전문 교관 양성에도 힘쓸 계획이다. 셋째, 2025년 하반기부터는 각 군 및 부대의 임무 유형과 특성을 고려한 시범 사업을 검토 및 추진한다. 또한, 민간에서 개발 중인 소형 드론 및 대(對) 드론 장비의 기술 실증을 위해, 각 군 및 부대의 임무에 적합한 ‘소형드론·대(對)드론 실증 전담부대’를 추가 지정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안규백 국방부장관은 육군 36사단이 쌓아온 드론 운용 노하우를 타 부대와 공유하고, AI 등 첨단 기술이 접목된 장비의 신속한 기술 실증을 위한 테스트베드 역할을 당부했다. 그는 1990년대 말 정보화 교육을 통해 국가 IT 경쟁력을 높였던 것처럼, ’50만 드론전사 양성’ 또한 개인의 역량 발전과 더불어 국내 산업 및 국가 미래 성장의 새로운 동력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사업은 우리 군의 드론 운용 능력을 강화하는 동시에, 장병 개개인이 전역 후에도 관련 산업계에서 활약할 수 있는 밑거름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군이 국산화된 드론의 수요를 지속적으로 창출함으로써 국내 드론 산업 생태계 구축과 활성화에도 선도적인 역할을 수행할 전망이다.
더 많은 이야기
[국토교통부]도시공간에 AI를 폭넓게 적용하는 ‘AI 시티’ 본격 추진
우리 동네 분리배출 방법, 이제 집에서 편하게 확인하세요!
중독 치료 혜택, 이제 국립정신건강센터에서 더 쉽게 받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