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 부상, 고립 등으로 일상생활에 어려움을 겪는 청년, 중장년, 그리고 가족을 돌봐야 하는 청소년 및 청년이라면 이제 더 쉽고 편리하게 지원받을 수 있다. 보건복지부가 ‘일상돌봄 서비스’를 널리 알리기 위해 제작한 홍보 영상 공개와 함께, 사업 규모 확대 소식을 전하며 더 많은 국민에게 혜택이 돌아갈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 일상돌봄 서비스는 2023년 8월부터 시작되어 현재 200여 개 시·군·구에서 운영되고 있으며, 2025년 제2회 추가경정예산을 통해 그 혜택의 폭이 더욱 넓어졌다. 이 서비스는 도움이 필요한 이들에게 재가 돌봄, 가사 서비스 등 기본 서비스는 물론, 식사 및 영양 관리, 병원 동행, 심리 지원과 같은 특화 서비스까지 맞춤형으로 제공한다.
일상돌봄 서비스의 대상은 질병, 부상, 고립 등으로 인해 혼자 힘으로 일상생활을 유지하기 어려운 19세부터 64세까지의 청년 및 중장년이다. 또한, 가족의 질병 등으로 인해 돌봄 역할을 맡고 있는 9세부터 39세까지의 가족돌봄청(소)년도 이 서비스의 중요한 대상이다.
서비스를 받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은 아직 원문 자료에 상세히 명시되어 있지 않으나, 복지부와 중앙사회서비스원 유튜브 채널 및 SNS 등을 통해 공개된 홍보 영상을 통해 서비스의 필요성과 실제 지원 사례를 확인할 수 있다. 이 홍보 영상은 “곤란한 일상에 숨 쉴 틈! 일상돌봄 서비스”라는 메시지를 앞세워, 아픈 가족을 돌보는 가족돌봄청년, 부상으로 인해 집안일을 거동하기 어려운 중장년, 그리고 독립적인 일상생활이 어려운 도움이 필요한 청년들이 어떻게 일상돌봄 서비스의 도움을 받아가는지를 생생하게 보여준다.
보건복지부 유주헌 사회서비스정책관은 이번 홍보 영상 공개가 일상돌봄 서비스를 필요한 모든 국민에게 알리고, 적시에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또한, 앞으로도 돌봄 사각지대를 해소하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을 계속하겠다고 강조했다. 이 서비스는 2025년 9월 현재 200여 개 이상의 지역에서 운영 중이며, 추가경정예산을 통해 사업 규모가 확대되어 더 많은 국민이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되었다.
더 많은 이야기
미국 조지아주 우리 기업 단속, ‘3백여 명’ 국민 보호 총력 대응
대구경북 통합신공항 이전, 정부의 성공 추진 당부로 사업 속도 낸다
청년 예술가 지원 확대, 창작 활동에 날개 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