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예작물이 우리 몸에 좋다는 사실, 이제 더 많은 분들이 직접 경험할 수 있게 됩니다. 농촌진흥청의 최근 조사에 따르면, 소비자들이 기능성을 기대하는 대표적인 채소로는 토마토와 양파가, 과일로는 사과가 압도적인 지지를 받았습니다. 앞으로 이들 작물을 통해 더욱 건강한 식습관을 유지하고, 면역력을 강화하며, 질병 예방까지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가장 먼저 눈에 띄는 혜택은? 토마토와 사과, 건강 기능성 식품으로 거듭나요!**
농촌진흥청이 실시한 이번 인식 조사 결과, 응답자의 76.2%는 원예작물이 건강에 도움이 된다고 답했습니다. 특히 소비자들이 기능성을 기대하는 채소로는 토마토(51.4%)와 양파(50.4%)가 가장 많이 언급되었으며, 과일 중에서는 사과가 68.0%의 높은 응답률을 보였습니다. 이는 앞으로 토마토와 사과를 단순한 먹거리를 넘어, 건강 기능성 식품의 소재로 적극 활용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실제로 전체 응답자의 56.8%는 원예작물을 건강기능식품 소재로 활용하는 것에 대해 긍정적인 입장을 보였습니다.
**어떤 혜택을 기대할 수 있나요?**
소비자들이 기능성 원예작물 섭취를 통해 기대하는 가장 큰 효과는 ‘건강한 식습관 유지(26.4%)’였습니다. 이 외에도 ‘면역력 강화(24.6%)’, ‘맛과 식감(24.1%)’, ‘질병 예방(10.6%)’ 등의 효능에 대한 기대감도 높았습니다. 이러한 조사 결과는 토마토와 사과 등이 우리 식탁에 오르는 것을 넘어, 우리의 건강 증진에 더욱 직접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줍니다.
**어떻게 섭취하는 것이 좋을까요?**
소비자들은 기능성 원예작물을 섭취할 때 ‘있는 그대로(원물) 섭취(44.8%)’하는 것을 가장 선호했습니다. 하지만 ‘즙이나 액상 가공품(34.7%)’ 형태로 섭취하는 것도 높은 비율을 차지했습니다. 이는 토마토나 사과를 생으로 먹는 것 외에도 주스나 음료 형태로 가공하여 섭취하는 것 역시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방식임을 알 수 있습니다.
**정보는 어떻게 얻고, 무엇을 더 원하나요?**
기능성 원예작물에 대한 정보 접근성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65.1%가 ‘성분과 효능을 쉽게 알 수 있다’고 답했습니다. 하지만 정보의 신뢰도를 더욱 높이기 위해서는 ‘과학적인 정보 제공(34.5%)’과 ‘기능성과 관련된 정부 인증 제도 강화(29.3%)’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많았습니다. 또한, ‘제품 포장지의 정확성(12.4%)’ 역시 중요한 요소로 지적되었습니다. 이는 소비자들이 기능성 원예작물에 대한 정보를 더욱 명확하고 믿을 수 있게 제공받기를 원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신청 방법 및 유의사항은?**
이번 조사 결과는 원예작물의 기능성이 식품뿐만 아니라 의약품, 화장품 등으로까지 확장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농촌진흥청은 앞으로 원예작물의 기능성을 활용하여 국민 건강을 증진하고 새로운 산업의 성장 동력을 마련할 수 있도록 연구개발과 보급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소비자들이 섭취 방식(레시피)이나 과학적 효능 등에 대한 더욱 세심하고 전문적인 정보를 제공받는다면, 만족도와 구매 의사가 높아질 것이라는 조언도 있었습니다.
더 많은 이야기
K-바이오 의약품, 2030년까지 수출 2배 늘린다! 나도 혜택 받을 수 있다
APEC 스타트업 얼라이언스 출범! 이제 우리 스타트업도 세계로 뻗어나간다
APEC 중소기업 장관회의, 국내 중소기업·스타트업 글로벌 협력 기회 넓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