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백신이나 치료제 개발에 필요한 핵심 정보가 연구자들에게 활짝 열린다.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은 오는 9월 3일부터 지카, 치쿤구니아 등 총 30종의 병원체가 가진 유전자 염기서열 정보를 온라인으로 공개한다고 밝혔다. 이번 정보 공개는 감염병 대응 연구의 기반을 넓히고, 신·변종 병원체 예측 및 치료제 개발을 가속화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처럼 중요한 병원체 유전자 정보는 국가병원체자원은행이 보유하고 있는 병원체에서 생산된 것으로, 연구자들이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도록 데이터베이스(DB) 형태로 제공된다. 총 90건에 달하는 이번 공개 정보에는 세균 17종 31건, 바이러스 7종 49건, 진균 6종 10건의 전장 유전체 염기서열 정보가 포함된다.
**어떤 혜택을 받을 수 있나?**
이번에 공개되는 유전자 정보는 감염병 관련 연구를 수행하는 연구자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다. 특히, ▲신·변종 병원체의 변이 및 유행을 예측하고, ▲치료제와 백신 개발에 필수적인 핵심 표적을 발굴하는 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실물 병원체를 직접 다루기 어려운 민간 연구기관에서도 안전하고 편리하게 연구를 진행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된다. 이는 궁극적으로 국민의 건강 증진과 보건 연구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누가, 어떻게 이용할 수 있나?**
병원체 유전자 정보는 누구나 온라인으로 접근하여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국가병원체자원은행 누리집(http://nccp.nih.go.kr)의 ‘병원체자원 > 자원검색’ 또는 질병보건통합관리시스템(http://is.kdca.go.kr)의 ‘병원체자원 온라인분양창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원하는 자료를 온라인으로 신청하면, 별도의 절차를 거쳐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국가병원체자원은행은 지난 2024년 한 해 동안 329개 기관에 총 2,948주(216종)의 병원체자원을 분양하여 진단기술 및 백신·치료제 연구에 지원한 바 있다. 이번 유전자 정보 공개는 단순히 실물 병원체를 분양하는 것을 넘어, 연구 접근성을 대폭 향상시켜 민간, 학계, 산업계 전반의 연구 기회를 확대한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가진다.
**신청 시 알아둘 점 및 향후 계획**
국가병원체자원은행은 앞으로도 분양 신청이 많거나 유전정보 특성이 부족했던 병원체자원을 우선적으로 선정하여 전장 유전체 정보 등을 지속적으로 생산하고 공개할 계획이다. 이는 다양한 감염병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를 가능하게 하여, 우리 사회의 감염병 대응 능력을 한층 강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박현영 국립보건연구원장은 “병원체 유전정보의 공개가 감염병 예방과 대응을 위한 연구 개발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며, 앞으로도 병원체자원 실물뿐만 아니라 유전정보 DB 공개를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더 많은 이야기
K-바이오 의약품, 2030년까지 수출 2배 늘린다! 나도 혜택 받을 수 있다
APEC 스타트업 얼라이언스 출범! 이제 우리 스타트업도 세계로 뻗어나간다
APEC 중소기업 장관회의, 국내 중소기업·스타트업 글로벌 협력 기회 넓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