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9월 06일
2026년 해양경찰 예산 2조 1,325억 원 편성, 국민 안전 확대

2026년 해양경찰 예산 2조 1,325억 원 편성, 국민 안전 확대

2026년 해양경찰청의 총 재정 규모가 2조 1,325억 원으로 편성되어 국민들이 바다를 더욱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이는 올해 2조 331억 원 대비 4.9% 증가한 수치로, 특히 해양에서의 긴급 구조 및 안전 확보를 위한 예산이 대폭 상향 조정되었다.

이번에 국회에 제출될 2026년 정부예산안은 해양경찰청의 해양주권 강화와 해양안전 확보를 목표로 하고 있다. 일반회계 예산안은 전년 대비 947억 원 증가한 2조 870억 원이며, 기금안 역시 47억 원 증가한 455억 원이 반영되었다.

주요 사업 분야별 예산은 해양주권 분야 5,064억 원, 구조안전 분야 1,475억 원, 수사 분야 236억 원, 해양환경보전 분야 292억 원, 그리고 연구개발 등 조직 역량 분야에 2,403억 원이 각각 배정되었다.

특히 주목할 점은 구조안전 분야로, 전년 1,122억 원 대비 31.5% 증가한 1,475억 원이 편성되었다. 이는 해양 안전 관련 장비 도입과 지원 확대를 통해 국민들이 바다를 더욱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준다.

구체적으로는 노후 카모프 헬기 8대 교체 사업 중 마지막 8번째 헬기에 대한 예산이 반영되었다. 지난 2021년부터 진행되어 온 이 사업은 장비 노후화, 수리 및 부품 수급의 어려움, 그리고 열상 장비와 탐색 레이더 미탑재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추진되어 왔다. 이번 마지막 예산 반영으로 해양경찰청은 전국 어느 해역에서든 재난 등 긴급 상황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게 되었다.

또한, 중앙정부기관 최초로 해상에서의 실제 비행 및 수색 구조 환경을 그대로 재현할 수 있는 대형 헬기 시뮬레이터 도입 예산도 반영되었다. 2022년 4월 8일 발생한 마라도 해상 헬기 추락 사고 이후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되어 온 이 사업은 조종사의 안전을 지키고 인명 구조 등 임무 수행의 안전성을 더욱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함정 건조 부문에서는 노후된 3000톤급 대형 함정과 중형 공기부양정, 그리고 함정 탑재 고속단정 교체를 위한 예산이 반영되었다. 이를 통해 불법 외국어선 단속과 구조 대응 역량이 한층 더 강화될 전망이다.

김용진 해양경찰청장은 “해양에서 국민의 안전을 지키고 해양 주권을 수호하는 경비, 장비, 안전 등 각 분야 현장 중심 예산이 내년도 정부예산안에 잘 반영되었다”고 밝혔다. 또한, “앞으로 남아있는 국회 심의 절차를 철저히 준비하고 최종 확정된 예산으로 내년에는 국민들이 더욱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우리 바다를 만들어 나가겠다”는 포부를 전했다.

해양경찰청 2026년도 정부예산안은 국회 심의 과정을 거쳐, 오는 12월 초 최종 확정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