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9월 06일
2026년, 해양수산 예산 7.3조 원으로 늘어난다… '이것'부터 챙기세요

2026년, 해양수산 예산 7.3조 원으로 늘어난다… ‘이것’부터 챙기세요

2026년, 해양수산 분야에 7조 3287억 원이 투입됩니다. 이는 지난해보다 8.1% 증가한 규모로, 회복과 성장을 위한 정책 추진에 더욱 힘이 실릴 전망입니다. 이번 예산 증액은 특히 수산·어촌, 해운·항만, 물류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시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됩니다.

그렇다면 달라지는 정책 속에서 시민들은 어떤 혜택을 누릴 수 있을까요? 가장 눈에 띄는 변화는 수산·어촌 분야입니다. 총 3조 4563억 원이 배정되어 8.4% 증액되었는데, 이는 양식 산업의 스마트 전환을 위한 투자를 신규로 시작하며(285억 원) K-Seafood의 해외 수출 지원을 확대(546억 원→782억 원)하는 등 어촌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한 노력의 일환입니다. 또한, 대규모 어촌 경제·생활 거점 34개소가 새롭게 조성되며, 기후 위기 대응을 위한 양식품종 전환 및 피해 예방 장비 보급에도 250억 원에서 525억 원으로 예산이 크게 늘어납니다. AI 응용제품 상용화 지원(450억 원) 역시 새롭게 시작되어 미래 산업 경쟁력 강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보입니다.

해운·항만 분야 역시 2조 1373억 원이 투입되어 2.6% 증액됩니다. 특히 북극항로 시대를 선도하기 위한 K-해양강국 건설에 박차를 가합니다. 쇄빙선 등 극지 운항 선박 건조 지원에 110억 원이 신규로 편성되며, 북극 진출을 위한 기술 개발 투자도 79억 원에서 677억 원으로 대폭 확대됩니다. 또한, 국제 환경 규제와 온실가스 감축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친환경 선박 보급 확대에도 335억 원에서 445억 원으로 예산을 증액합니다. 항만 인프라 조성에도 1조 6649억 원이 투입되어 거점항만, 친환경·스마트 항만, 권역별 특화 항만 구축에 속도를 냅니다.

이 외에도 물류 등 기타 해양산업 분야에는 1조 680억 원(12.1% ▲), 해양환경 분야에는 4212억 원(21.7% ▲), 과학기술 연구 지원에는 2459억 원(15.3% ▲), R&D 분야에는 8405억 원(12.2% ▲)이 각각 배정되었습니다.

특히 국민 안전과 국익을 위한 정책 강화도 주목할 만합니다. 중국어선 등 불법어업 대응에는 981억 원에서 1122억 원으로, 해상사고 위협 예방 및 대응에는 438억 원에서 565억 원으로 예산을 증액합니다. 또한, 깨끗한 바다를 만들기 위한 어구·부표 보증금제 확대에 84억 원에서 107억 원을 투입하며, 우리 해역 감시관리 역량 강화에도 62억 원을 신규로 지원합니다.

2026년 해양수산부 예산안은 이처럼 다양한 분야에서 실질적인 혜택과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됩니다. 관련 정책 및 지원 사업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해당 기관에 문의하여 본인에게 맞는 혜택을 꼼꼼히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