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내가 받을 비급여 진료에 드는 비용을 미리 알고 합리적인 선택을 할 수 있게 된다. 2025년부터 전국 693개 의료기관의 비급여 항목별 가격 정보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심평원) 누리집과 모바일 앱 ‘건강e음’을 통해 상세하게 공개되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소비자는 의료기관 간 비급여 가격을 손쉽게 비교하고 자신에게 맞는 병원을 선택하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이 제도는 의료기관마다 다른 비급여 진료 항목의 가격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하여 국민의 알 권리를 보장하고 합리적인 의료 선택을 지원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올해는 작년보다 더 많은 693개의 비급여 항목 가격 정보가 공개된다.
이번에 공개되는 2025년 비급여 가격 정보에 따르면, 작년과 올해 모두 적용되는 571개 항목 중 64.3%에 해당하는 367개 항목의 평균 가격이 인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의료기관 간 가격 편차가 큰 항목도 48.7%에 달해, 소비자가 가격 정보를 꼼꼼히 확인하는 것이 더욱 중요해졌다.
특히 국민들의 관심이 높은 도수치료의 평균 가격은 전년 대비 1.3% 올랐으며, 폐렴구균 예방접종비는 2.1% 인상되었다. 국민들이 자주 찾는 주요 비급여 항목인 임플란트와 약침술의 경우 의료기관 간 가격 편차가 더욱 벌어졌으며, 2025년에 새롭게 공개되는 비급여 항목 중에서는 백내장 등 안과 질환 진단에 사용되는 샤임프러그 사진촬영 검사의 가격 편차가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
예를 들어, 의원급 의료기관의 경우 도수치료 비용이 중간 금액 기준으로 10만원인 곳도 있는 반면, 25만 5천원인 곳도 있었다. 폐렴구균 예방접종 비용 역시 13만원에서 18만원까지 차이가 났으며, 임플란트 시술 비용은 120만원부터 250만원까지, 약침술은 1만원에서 3만원으로, 샤임프러그 사진촬영 검사는 10만원에서 200만원까지 의료기관별로 가격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가격 차이는 진료 기준, 난이도, 의료진 및 장비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발생할 수 있다.
소비자는 이제 심평원 홈페이지를 방문하거나 모바일 앱 ‘건강e음’을 통해 이러한 비급여 가격 정보를 직접 확인하고 비교할 수 있다. 만약 홈페이지를 운영하지 않는 의료기관이라면, 해당 기관 내부에 비치된 책자나 메뉴판, 벽보 등을 통해서도 가격 정보를 안내받을 수 있다.
특히 올해는 소비자들이 비급여 가격 정보를 더욱 쉽고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공개 화면이 개선되었다. 다빈도 비급여 항목을 빠르게 조회할 수 있으며, 지역별, 규모별로 비교 금액을 한눈에 볼 수 있는 화면이 신설되었다. 또한, 진료 내용의 안전성과 유효성 평가 결과, 급여 기준 정보가 확대되었고, 질병관리청의 예방접종도우미 사이트와도 연계되어 더욱 폭넓은 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되었다.
앞으로도 심평원은 소비자 및 의료계의 의견을 지속적으로 청취하여 국민들이 비급여 진료를 선택하는 데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도록 비급여 가격 공개 제도를 꾸준히 개선해 나갈 예정이다.
더 많은 이야기
미국 조지아주 우리 기업 단속, ‘3백여 명’ 국민 보호 총력 대응
대구경북 통합신공항 이전, 정부의 성공 추진 당부로 사업 속도 낸다
청년 예술가 지원 확대, 창작 활동에 날개 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