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혼인과 출생에 관한 지난 30년간의 큰 변화들을 살펴보면, 특히 2024년 현재를 살아가는 당신에게도 직접적으로 와닿는 점들이 많습니다. 가장 눈에 띄는 변화는 바로 결혼 연령의 상승입니다. 2024년 기준으로 남성의 평균 초혼 연령은 33.9세, 여성은 31.6세로, 이는 1995년과 비교했을 때 남성은 5.5세, 여성은 6.2세나 높아진 수치입니다. 즉, 결혼을 조금 더 늦게 하는 경향이 뚜렷해졌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혼인 건수 자체는 어떻게 변했을까요? 1996년 정점을 찍은 이후 2022년까지는 꾸준히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습니다. 하지만 희망적인 신호도 있습니다. 2023년 이후 2년 연속으로 혼인 건수가 증가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는 점입니다. 이는 결혼을 결심하는 사람들이 다시 늘어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외국인과의 혼인 역시 흥미로운 변화를 보입니다. 2005년에 최고점을 기록한 이후 감소세로 돌아섰지만, 2022년부터 다시 증가 추세로 전환되었습니다. 이는 국제적인 교류가 활발해지면서 다양한 배경을 가진 부부가 늘어나는 현상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출생아 수의 변화는 좀 더 복잡한 양상을 띱니다. 1995년 71만 5천 명이었던 출생아 수는 꾸준히 감소하여 2023년에는 23만 명으로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하지만 2024년에는 23만 8천 명으로 소폭 증가했습니다. 연령별 출산율을 살펴보면, 20대에서의 출산율은 감소하는 반면, 30대와 40대 초반 연령층에서의 출산율은 오히려 증가하는 추세를 보입니다. 또한, 첫째 아이를 낳는 비중은 늘고 있지만, 둘째나 셋째 아이 이상을 낳는 비중은 줄어들고 있다는 점도 주목할 만합니다.
이러한 통계들은 우리 사회가 변화하고 있음을 명확히 보여줍니다. 결혼과 출산에 대한 인식, 그리고 이를 둘러싼 환경 역시 계속해서 변모하고 있는 것입니다. 과거와는 달라진 현실 속에서 자신의 상황과 미래를 계획하는 데 이러한 변화들을 참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www.korea.kr)
더 많은 이야기
내 반려동물 건강 지킴이, 만능 아로마 연고 직접 만들어요!
몽골 이태준 기념관, 4일 몽골 현지서 개관: 우리 독립운동가의 발자취를 직접 만나보세요
일본에서 ProductLife Group 혜택, 이제 더 쉽고 가까이 누리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