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소방 현장의 대응력이 한층 강화되어 국민과 소방관 모두의 안전을 지킬 수 있게 된다. 정부가 ‘소방 R&D 강화방안’을 발표하며 2026년까지 R&D 예산을 503억원으로 대폭 증액(전년 대비 65% 증가)한다고 밝혔다. 이는 증가하는 재난 위험과 소방 수요에 비해 낮았던 기존 투자 규모를 대폭 늘려, 현장 대응력을 높이고 첨단 기술을 신속하게 도입하기 위한 조치다.
이번 강화 방안은 크게 세 가지 방향으로 추진된다. 첫째, 국방 분야에서 이미 검증된 첨단 기술을 소방 현장에 적극 적용한다. 이를 위해 소방청, 국방부, 방위사업청은 국방-소방 기술협의체를 구성했으며, 근력 강화 슈트, 고중량 드론, 수중 탐색 플랫폼, 플라즈마 살균기(구급차 소독) 등 소방 현장에 효과적인 국방 기술 10종에 대한 현장 실사를 마쳤다. 현장 적용성이 높은 기술은 올해 말까지 검토 및 발전시켜 2027년부터 본격적으로 과제 수행에 돌입할 예정이다. 또한, 양 기관은 재난 현장에 필요한 기술 수요를 발굴하고 필요한 국방 기술을 매칭하는 협력을 강화하며, 공동 연구개발을 통해 비용 절감과 활용성 제고를 도모할 계획이다.
둘째, 소방청 자체 연구 역량을 강화한다. 2026년에는 R&D 예산 503억원을 투입하여 기후 위기 대응, 친환경 교통수단 사고 대응, 소방 시설 화재 적응성 평가 등 국민 생활과 직결된 연구 과제를 우선적으로 추진한다. 행정안전부는 소방청과 소방 연구원을 대상으로 조직 진단을 실시하여 과제 이행부터 성과 관리까지 최적의 조직 운영 방안을 설계한다. 소방청은 중장기 방향 설정 및 예산 수립 등 총괄 관리를 맡고, 국립소방연구원은 예비 연구, 실 검증, 실용화를 담당하며 소방 R&D 조직의 기능과 역할을 체계화할 것이다. 2026년 공주에 완공 예정인 국립소방연구원 신청사는 대원 안전 장비 성능 검증, 화재 성상 연구, 소방 산업체 합동 연구 등 첨단 실증 및 융합 연구의 거점으로 활용될 예정이다.
셋째, 국내 소방 산업을 수출 산업으로 육성하여 기술 사업화와 해외 진출 기회를 확대한다. 이를 위해 소방 산업 국제 경쟁력 강화를 위한 ‘소방 산업 수출 협의회’를 구성하여 현장의 애로사항을 해결하고, 우수 연구 성과물은 혁신 제품 지정으로 이어지도록 지원하여 기업들이 공공 조달 등 판로를 확보할 수 있도록 돕는다. 또한, 소방 산업체 대상 교육 및 설명회를 개최하여 산업부의 기업 육성 및 수출 지원 프로그램 참여를 유도할 계획이다.
김민석 국무총리는 “국민 보호라는 국가의 책임을 다하기 위해 소방의 역량 강화가 절실하다”며, “드론, 로봇, 센서 등 검증된 첨단 국방 기술을 소방 현장에 적극 활용하고, 소방 연구 성과가 산업 수출로 이어져 국가 경쟁력 제고에도 기여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관계부처가 긴밀히 협력하여 소방 R&D 성과가 국민이 체감하는 현장 안전으로 이어지도록 끝까지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더 많은 이야기
K-바이오 의약품, 2030년까지 수출 2배 늘린다! 나도 혜택 받을 수 있다
APEC 스타트업 얼라이언스 출범! 이제 우리 스타트업도 세계로 뻗어나간다
APEC 중소기업 장관회의, 국내 중소기업·스타트업 글로벌 협력 기회 넓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