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왕릉뿐만 아니라 왕족과 후궁 등의 무덤인 원(園)과 묘(墓)에 있는 약 300여 점의 귀중한 석조문화유산이 체계적으로 보존될 수 있는 새로운 방안이 모색된다. 국가유산청 국립문화유산연구원과 궁능유적본부는 산림청 국립수목원과 손잡고, 오는 9월 9일 오후 1시 국립고궁박물관에서 ‘돌에 깃든 왕실의 숨결, 원·묘 석조문화유산의 보존과 가치’를 주제로 특별한 학술발표회를 개최한다.
이번 발표회는 지난 3년간 세 기관이 함께 진행한 ‘조선왕릉 내 원·묘 석조문화유산의 보존방안 공동연구’의 최종 결과를 공유하는 자리로, 그동안 상대적으로 주목받지 못했던 원·묘의 석조문화유산 보존을 위한 실질적인 논의가 이루어진다. 특히 이번 공동연구는 남양주 광해군묘 등 보존 상태 진단이 시급한 10곳의 원·묘에 있는 약 300여 점의 석조문화유산을 대상으로 정밀 조사를 실시하며 그 구체적인 방안을 찾았다.
이 연구에서 주목할 만한 점은 국립수목원과의 협력을 통해 석조문화유산에 가장 많이 서식하는 지의류(암석에 붙어 사는 작은 생물)의 종류와 분포를 처음으로 파악했다는 것이다. 더 나아가, 초분광 영상 분석(빛의 파장을 세밀하게 분석하여 대상의 성질을 파악하는 기술)을 활용한 새로운 보존 상태 진단 기술도 개발하는 등 눈에 띄는 성과를 거두었다.
발표회는 총 6건의 전문적인 주제 발표로 구성된다. 먼저 1부에서는 조선 후기 원·묘 석물의 조성과 시대 구분에 대한 연구와 3년간의 정밀 조사 결과를 분석하는 내용이 발표된다. 이어 2부에서는 원·묘에 서식하는 지의류의 다양성과 이러한 지의류를 생물학적으로 관리하는 방향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가 이루어진다. 마지막 3부에서는 석조문화유산 보존에 활용될 초분광 영상 분석 사례와 앞으로의 전망, 그리고 세계유산인 조선왕릉의 보존 관리와 석조문화유산 조사의 중요성에 대한 발표가 이어질 예정이다.
이 역사적인 학술발표회는 별도의 사전 등록 절차 없이 당일 현장에서 바로 참여할 수 있다. 국가유산청 국립문화유산연구원과 궁능유적본부는 앞으로도 첨단 과학 기술을 기반으로 한 실질적인 보존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기관 간 협력을 더욱 강화하고, 소중한 석조문화유산의 체계적인 보존과 관리를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더 많은 이야기
K-바이오 의약품, 2030년까지 수출 2배 늘린다! 나도 혜택 받을 수 있다
APEC 스타트업 얼라이언스 출범! 이제 우리 스타트업도 세계로 뻗어나간다
APEC 중소기업 장관회의, 국내 중소기업·스타트업 글로벌 협력 기회 넓힌다